학술논문
문체반정의 논리구조와 18세기 문학담론에 끼친 영향
이용수 1076
- 영문명
- The logical structure of Munchepanjung(文體反正) and its influence in the 18th century's literary discourse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박상영(Park Sang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2輯, 219~257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logical structure of
Munchepanjung(文體反正) and its influence in the late 18th century's
literary discourse. The Munchepanjung(文體反正), which is the restoration
of literary style, reflects Jeong-jo's efforts, which tried to establish the
classical standard of writing in the confusing social atmosphere as one of
kings in Choseon dynasty. It also shows the reality of changing literature
which was important in making the reasonable path of righteousness and
keeping the system with it.
This Munchepanjung(文體反正) shows the unfolding aspects dually within
the trigonal system of "'subject주체' - 'Subject대주체' - 'counter-subject반주체'",
once in 1787 and the other in 1792. The former event shows strong political
disposition in the relationship of identification between 'subject' - 'Subject(a')'.
The latter shows a much stronger aspects in policy making than the relationship
of counter-identification.
Either way, King Cheong-Jo wanted to leave his legacy on the development
of the classical standard of writing in the right way, making a diversion
in both of them who threatened public order of a state.
These kinds of efforts showed various types of attitude of the anti-imitation of ancient style(反
擬古) This style focused on the Six Confucian Classics(六經) & the old
literature of Eight Men of Letters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唐宋八家文)
as a canon of literature, the publication of these anthologies reveal the
examples of poetry and prose, the strict prohibition of Paekansopum(稗官小
品), redressing the abuse of the state examination(科擧) ect.
In the relationship of counter-identification with the 'Subject대주체'', the
Munchepanjung(文體反正) has meanings which accepted the change of
times to some extent and at the same time showed practical aspects. This
was related with the tendency of national literature which was showing
up strongly at that time.
The literary historical value of the Munchepanjung(文體反正) lies on
that the Munchepanjung(文體反正) was executed as a central policy and
part of cultural reformation by 'subject주체' doing many things such as
the intensification of institutional characters through the purification of
Gwan-gak literature(館閣文學), innovation on luxurious trends of
kyunghwasagok(京華士族), the privilege rank that monopolized an
honored and official post in the 18th in Korean governing class. This also
has meaning historically in that the Munchepanjung(文體反正) was carried
out in the relationship of 'subject' - 'Subject' - 'counter-subject".
목차
1. 문제제기
2. 이해의 전제로서의 문체반정의 논리구조
3. 18세기 문학담론의 이원적 전개양상
4. 문체반정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의
5. 나오기
<참고문헌>
[Abstract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ㅅㆍㅂㅇ-} 통합 어간의 활용 양상
- 김춘수 초기시에 나타난 무한과 고독의 의미 연구
- ‘상처’와 ‘치유’의 서사담화 연구
- 중국 조선족 설화에 나타난 두꺼비 보은설화의 변이 양상
- 근대전환기 규방가사 <시골여자 슬픈사연>의 성격과 여성화자의 자아인식
- 해방공간에서의 잔류 일본인 귀환 문제
- 대중문화 코드로 본 <춘향전>의 현대적 변이
- 미주지역 이민1세대 소설 비교 연구
-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국어사용과 인식
- 근대 전환기 몽유 양식의 창작방법의 변주 양상
- 문체반정의 논리구조와 18세기 문학담론에 끼친 영향
- 문장 종결 형식 ‘-더시다’의 문체 특징
- 「중국인 거리」에 나타난 서사적 공간 연구
- 태평양전쟁직후 한일(韓日) 소설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비교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형사형 어미 교육 방안
- 의미 규정에 대한 일 고찰
- 정지용의 「장수산1」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