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장 종결 형식 ‘-더시다’의 문체 특징
이용수 32
- 영문명
- The Stylistic Character of a Sentence Termination Form '-deosida(더시다)'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정은균(Jeong eung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2輯, 95~12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at considering the stylistic character of '-deosida(더시다)'
which is used for a sentence termination form in a description part before
the modern age. It was understoo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deosida' and '-sideora' because of the similiarity between '-deosi(더시)-'
and '-sideo(시더)-'. It was understood by a historical perspective; earlier
or later. By the way, the form '-deosida' is used for the sentences the
majestic character's achievements in their lifetime, like 'Buddha' and
'Confucius', mostly in the description part of a narrative text. Besides, These
sentences do not appear in conversational sentences in a description part.
Moreover, as the information written with this form is considered it is on
the comprehensive historical realm, the form '-deosida' derives the
historicizing effect. The fact that '-deosida' form does not appear in a
conversational sentence implies two facts; the general absolute sentence
is not used in a conversational sentences, and the '-deosida' historicizes
a independent event having particular stylistic effect in sentences. Th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eaning of '-deo-' in '-deosida' in a absolute
sentence and the meaning of '-deo-' in '-sideora(시더라)' in a general sentence are different.
It is involved in the above situations that while '-sideora', used for description and conversation
part, contains pragmatic unit '-ra' which appears in reciprocal conversations, '-deosida', used for
only description part, includes pragmatic unit '-da' which is used to deliver
objective ideas, and it brings effects of absolute sentence style.
목차
1. 서론
2. 기존의 관점과 논의 검토
3. ‘-더시다’의 쓰임새와 문체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ㅅㆍㅂㅇ-} 통합 어간의 활용 양상
- 김춘수 초기시에 나타난 무한과 고독의 의미 연구
- ‘상처’와 ‘치유’의 서사담화 연구
- 중국 조선족 설화에 나타난 두꺼비 보은설화의 변이 양상
- 근대전환기 규방가사 <시골여자 슬픈사연>의 성격과 여성화자의 자아인식
- 해방공간에서의 잔류 일본인 귀환 문제
- 대중문화 코드로 본 <춘향전>의 현대적 변이
- 미주지역 이민1세대 소설 비교 연구
-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국어사용과 인식
- 근대 전환기 몽유 양식의 창작방법의 변주 양상
- 문체반정의 논리구조와 18세기 문학담론에 끼친 영향
- 문장 종결 형식 ‘-더시다’의 문체 특징
- 「중국인 거리」에 나타난 서사적 공간 연구
- 태평양전쟁직후 한일(韓日) 소설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비교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형사형 어미 교육 방안
- 의미 규정에 대한 일 고찰
- 정지용의 「장수산1」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