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대 전환기 몽유 양식의 창작방법의 변주 양상
이용수 70
- 영문명
- A Study on the Various Aspects of the Creative Methods for Dream Modes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 Centered on Manhamongyurok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미선(Kim Mi-s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2輯, 181~21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various aspects of a
creative method about dream modes (夢遊樣式) which was created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This study concentrates on analyzing the
creative methods of Manhamongyurok (晩河夢遊錄) which was written by
Kwang-su Kim in 1907 because it presented urgent matters and handling
measures in the period very well. A writer used the dream modes to
discuss about a modernization and a national sovereignty.
There are three creative methods in Manhamongyurok. Firstly, it passes
on the dream modes on the previous generation. Therefore, a dreammotive
controls an epic elements in an unique structure. But it had certain
characteristic of evolving the epic as doing a journey around the
dreamworld. And novel's heroine fleshed out the issue of a moderniz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a national sovereignty through discussing them
with characters in the dreamworld. Secondly, it takes both the aspects of
short dream and the creative custom of full-length dream novels.
From this reason, the writer was describing his work as combining a traditional
confucianism discussion and a modern-enlightenment discussion. Lastly,
novel's heroine gave his opinions in every space. Thus, the opinions were
integrated into one by making various enlightenment discussions in each
space into the scenes.
As mentioned above, although it is a fact that Manhamongyurok inherits
the traditional culture of classical novels, it is taken for granted that it is
the main work in the changes of the dream modes.
목차
1. 서론
2. <만하몽유록>의 창작방법 분석
3. 애국계몽기 몽유 양식의 창작방법의 변주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ㅅㆍㅂㅇ-} 통합 어간의 활용 양상
- 김춘수 초기시에 나타난 무한과 고독의 의미 연구
- ‘상처’와 ‘치유’의 서사담화 연구
- 중국 조선족 설화에 나타난 두꺼비 보은설화의 변이 양상
- 근대전환기 규방가사 <시골여자 슬픈사연>의 성격과 여성화자의 자아인식
- 해방공간에서의 잔류 일본인 귀환 문제
- 대중문화 코드로 본 <춘향전>의 현대적 변이
- 미주지역 이민1세대 소설 비교 연구
-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국어사용과 인식
- 근대 전환기 몽유 양식의 창작방법의 변주 양상
- 문체반정의 논리구조와 18세기 문학담론에 끼친 영향
- 문장 종결 형식 ‘-더시다’의 문체 특징
- 「중국인 거리」에 나타난 서사적 공간 연구
- 태평양전쟁직후 한일(韓日) 소설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비교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형사형 어미 교육 방안
- 의미 규정에 대한 일 고찰
- 정지용의 「장수산1」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