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극적 방법론에서 적극적 대안론으로

이용수 89

영문명
A Study on the Nature of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aradigm Shift from Methodological Approach into Alternative Approach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이재준(Lee, Jae-Jun)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3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5.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소극적 방법론’과 ‘적극적 대안론’이라는 개념의 틀을 통하여 종래의 통합교과교육 정당화 논리에 담긴 한계를 드러내고, 이를 토대로 통합교과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보는 데에 있다. 통합교과교육은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이래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뚜렷한 질적 변화를 보여주지 못하고 방법론적 실험만을 되풀이해 왔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특히 통합교과교육의 이념은 교과를 가르치는 별개의 방법론이 아니며, 오히려 전통적인 교과교육이 추구해 온 내면화라는 목표의 상징적 표현에 불과하다는 주장은 통합교과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근본적인 부정의 정서에 해당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분석에 의하면,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탈교과’의 이념은 그 해석 방식에 따라서 통합교과교육의 정체성 논의에 어느 정도 새로운 물꼬를 틔워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예컨대 ‘탈교과’란 전통적인 ‘교과’ 개념을 넘어서는 새로운 텍스트를 지칭하는 것에 다름이 아니며, 그러기에 ‘탈교과’의 이념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교육적 소통 방식을 요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과와 전통적인 교과의 화해 내지 상생 논리의 개발, 통합교과 이념의 종적 및 횡적 확대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justify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in terms of paradigm shift from passive methodological approach into active alternative approach. Firstly, we try to analyze integrated curriculum from 4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to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eriod on 2007. Through this process, we can find that there have been some scorcher of critiques about the identity of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since it was introduced in the 4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Secondly, we try to find the reason why current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is in the crisis of identity which can not justify its being in school curriculum. To proceed this work, we examine two viewpoints which explain the necessity of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in opposite ways. According to our examination, one has critical limitation which always depends on the doctrine of efficiency beyond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n this case,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only regard as methodological means. Another believes that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can be defined in terms of internalization which is realized by teaching only separated subject matters in their original logics. It also has fatal defect from the viewpoint of concealing its strong intention to deny integrated curriculum. But there is a kind of belief that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can be identified by re-conceptualizing the nature of education. It means that we can get new concept of trans-subject which shows that how to interpret and actualize the idea of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in the process of pract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is context, the idea of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is not an obstacle to decry the value of traditional subject matters, but both of the two will be developed in promoting their own values each other. On the basis of above discussion, we lastly suggest that there is necessary to extend the area of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mens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준(Lee, Jae-Jun). (2009).소극적 방법론에서 적극적 대안론으로. 교육사상연구, 23 (1), 1-24

MLA

이재준(Lee, Jae-Jun). "소극적 방법론에서 적극적 대안론으로." 교육사상연구, 23.1(2009):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