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의 지식체계와 문학의 위치

이용수 331

영문명
Modern Knowledge System and the Location of Literature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이재봉(Lee, Jae-Bong)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52집, 149~18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근대 초기를 대상으로 하여 당시의 지식 체계와 그 속에서 문학의 위치를 살펴보고자 했다. 근대 초기 지식은 서구를 배워야 한다는 것이고, 중화적 세계질서에서 벗어나 서구 문명 세계 속으로 조선을 편입시키려는 강력한 욕망이 개입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전과는 다른 지리적 상상력이 작동하면서 근대 초기에 지식은 새롭게 재편되기에 이른다. 물론 ‘지식’이라는 용어 자체도 서구어의 번역, 또는 일본에서 한자어로 번역된 서구어가 조선에 차용된 것이었고 ‘지식’은 동양의 평화는 물론이고 사회진화론적 생존경쟁에서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리고 ‘지식’은 강력한 국가를 열망하던 조선의 정책에 따라 지·덕·체 등으로 인식되어 학교의 교과목으로 편제되기도 했고 인간의 심리에 바탕을 둔 지·정·의라는 틀로 분류되기도 했다. 특히 1910년대 이후에 지식인들은 ‘지·정·의’가 근대 지식의 일종의 인식소로 받아들이기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정·의는 구체적인 담론 형태로 실천되기는 어려운 개념이었고 신문과 잡지 등 근대 매체에서 지식은 또 다른 모습으로 확산되고 있었다. 예컨대 『태극학보』, 『서북학회월보』 등의 잡지에서 근대 지식이 담론으로 실천되는 형태와 『대한흥학보』에서의 그것은 일정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대한흥학보』에서는 다른 잡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계성과 논리성을 갖추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대 지식이 담론으로 실현되는 모습을 이 글에서는 ‘현미경적 지식’, ‘망원경적 지식’, ‘내시경적 지식’으로 범주화하여 보았다. 근대의 지식이 분자와 원자의 세계에까지 끝없이 분류되는 것이고 분류되지 않은 것은 근대 지식이 아니라는 입장에서 이와 관련된 지식을 현미경적 지식이라 명명하였고, 우주와 천문 지리 등 멀어서 보지 못하던 것을 볼 수 있게 된 것과 이와 관련된 지식을 ‘망원경적 지식’이라 명명하였다. 또 근대 주체를 형성하고 내부를 들여다보는 것을 ‘내시경적 지식’이라 명명하고 여기에 문학과 예술 등의 범주를 포함시켜 보았다. 물론 이와 같은 범주는 단절된 것이 아니라 서로 뒤섞일 수 있으며 그 경계가 명확하게 분절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지식은 대부분 ‘민족’과 연관되며 조선에 없거나 사라진 것을 만들고 회복하려는 것이었으며 결과적으로 근대 지식은 조선을 새롭게 구성하여 ‘문명’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욕망이기도 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s the knowledge system and the place of literature of early modern times. Early modern knowledge was to learn the West, and there was a strong desire to incorporate Joseon into Western civilization, out of Sinocentrism. As a result, the knowledge was reorganized in early modern times, as a new geographical image began working. The term, ‘Knowledge’ itself, was a translation of Western language, or a borrowed word of western language that was 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 in Japan. ‘Knowledge’ was considered as an indispensible condition not only for the peace of the East, but also for the social evolutionary struggle for existence. ‘Knowledge’ was once considered as Gi(knowing)- Deok(virtue)- Che(physicalness)-; therefore, it was composed as a school subject according to Joseon's policy that longed for a strong dynasty. It was also once classified as Gi(knowing)-Jeong(feeling)-Ui(righteousness) which was based on human psychology. Especially after 1910's, Intellectuals are seemed to adopt ‘Gi(knowing)-Jeong(feeling)-Ui (righteousness)’ as an element of modern knowledge. However, Gi(knowing)-Jeong(feeling)-Ui(righteousness) was not an easy concept to be put in practice in a form of concrete discourse, moreover, knowledge began spread in another form on the modern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For instance, The form of modern knowledge that is seen in magazines such as 『Tae geuk hak bo』, 『Seo buk hak hoe-wol bo』 has difference from that is in 『Dae han heung hak bo』. 『Dae han heung hak bo』 shows systemicity and logicality better than other magazines. This study categorized the form that modern knowledge realizes into ‘Microscopic Knowledge’, ‘Telescopic Knowledge’, ‘Endoscopic Knowledge’. Modern knowledge is eternally classified into molecular and atomic world, and which is not classified is not knowledge. The related knowledge to this point of view is called ‘Microscopic Knowledge’. We could see what were unseeable before since they were too far from us such as Space and Astronomic Earth. The related knowledge to this point of view is called ‘Telescopic Knowledge’. Knowledge that is forming modern subject and looking into inner part is called ‘Endoscopic Knowledge’. Literature and Art are included in this category. Of course, these categories are not separated one another but able to be merged together. The border line of the gategories is not clear, either. Knowledge is mostly related to ‘Nation’, and the desire to create and revive that does not exist or disappeared in Joseon. Modern knowledge is a desire to newly form Joseon, and to go one step forward ‘Civilization’ as a result.

목차

국문초록
1. 지리적 상상력과 지식의 근대 기획
2. 근대의 지식 체계와 그 배치
3. 현미경·망원경·내시경, 근대의 지식과 그 욕망의 배치
4. 새조선의 기획과 지식의 담론 형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봉(Lee, Jae-Bong). (2009).근대의 지식체계와 문학의 위치. 한국문학논총, 52 , 149-183

MLA

이재봉(Lee, Jae-Bong). "근대의 지식체계와 문학의 위치." 한국문학논총, 52.(2009): 149-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