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란분재의 의미와 設行 역사

이용수 443

영문명
The Meaning and History of the Ullambana Rite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김상영(Kim, Sang-young)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22호, 173~221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盂蘭盆齎는 동북아시아 불교권의 대표적 불교의례 행사이며, 무려 1,500년에 가까운 설행 역사를 지니고 있다. 장구한 역사만큼이나 우란분재는 각 지역의 문화, 사상 등과 융합되면서 매우 다양한 형태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우란분재의 의미와 설행 역사를 살펴보는 내용으로 서술되었다. 우란분(鳥藍婆拏, ullambana, 倒懸)의 어원 연구는 주로 일본 학자들에 의해 진행되어오고 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정설은 제시되어있지 못한 상태이다. 우란분재의 성격을 전하는 『우란분경』은 매우 짧은 분량의 내용이지만 나름대로 뚜렷한 구성과 체계를 갖추고 있다. 필자는 이 경의 중간 부분, 즉 「自恣日 공양과 목련 어머니의 구제」에 관계된 내용을 특히 주목하고자 하였다. 안거를 마친 수행 대중의 자자일에 공양을 올리고, 수행대중은 공양을 올린 施主家와 7세 부모를 위해 축원을 한다는 우란분재 齋의 형태가 여기에서 뚜렷하게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우란분재의 실행 시기와 성격을 정리한 이후 본문에서는 우리나라 우란분재의 실행 역사를 살펴보았다. 한국의 우란분재는 고려시대 설행 기록, 즉 『大覺國師文集』에 실려 있는 관련 기록이 시기상 가장 앞선다. 여러 가지 정황상 한국의 우란분재 역시 삼국시대부터 설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만, 그와 관련한 직접적인 자료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고려시대 우란분재는 왕실과 사찰 등에서 꾸준하게 설행되었으며, 孝의 선양이라든가 自恣, 수행 승려들에 대한 공양 등의 우란분재와 관련한 기본 정신이 그대로 계승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이후 우란분재는 百中과 함께 설행되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백중은 중국, 일본 등의 역사에서 그 이름이 보이지 않는 한국 고유의 민속행사에 속한다. 우란분재는 조선 초기부터 百種이 라는 이름으로 널리 통용되어 왔으며, 그 의미는 『우란분경』의 百味, 즉 음식이나 과일의 개념으로 파악한 경우가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의 우란분재에서 百恣라든가 수행 승려들에 대한 공양 등의 모습은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한국의 우란분재는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민중 중심의 민간제의나 민속놀이로 그 성격이 크게 변화되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는 조상천도라는 특성 형태의 제의만 강조되는 모습으로 정착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Ullambana Rite(盂蘭盆齎) is one of the famous Bhuddist rituals in Northeast Asia and it has been performed for almost 1,500 years in various forms, often altered by the culture and thought of each region. This paper explains the meaning and the history of Ullambana Rite. Some Japanese scholars have traced the word Ullambana to its origin, but have not established the theory of its origin. The 『Ullambana Sutra』, which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Ullambana Rite, is a short story but well organized. This paper focused on one of the discourses of the sutra, 「Pavarana and the Buddha's instruction on how to obtain liberation for his disciple Mahamaudgalyayana's mother」. In fact, the discourse clearly explains the form of Ullambana Rite, in which a Buddhist disciple made food offerings to the sangha on the fifteenth day of the seventh month and said a prayer for the offeror and his parents who had been reborn into a lower realm. First, this study outlined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Ullambana Rite in China. Then it explained the history of Ullambana Rite in Korea. In fact, 『Daegakguksa-munjip(大覺國師文集)』is the first Korean book that mentions that the Ullambana Rite was performed in the Koryo Dynasty. The Ullambana Rite is likely to have been performed from the time of the Three Kingdom period in Korea, but there is no historical record that can directly prove it. In the Koryo Dynasty, the Ullambana Rite was performed by the Royal family and Buddhist priests and basic principles such as filial piety, pavarana and offering food to the Buddhist priests were inherited from the original ritual. Since the Chosun Dynasty, the Ullambana Rite has been performed on the fifteenth day of the seventh month-the day is called Baekjoong(百中) in Korea. The term, Baekjoong is not found in other nation's history and it is a Korean folklore day. In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Ullambana Rite was widely known as Baekjong(百種: many kinds) because people recognized the ritual as various food offerings.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oncept of pavarana or the offerings to the Buddhist priest in the Chosun Dynasty's Ullambana Rite. The Ullambana Rite in Korea Changed into a folk ritual or follk game in the Chosun Dynasty. Today, it seems that only the ritual for praying for the ancestors' peaceful rest is emphasized in the Ullambatan Rite in Korea.

목차

Ⅰ. 머리말
Ⅱ.『우란분경』과 우란분재
Ⅲ. 고려시대의 우란분재
Ⅳ. 조선시대의 우란분재와 백중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영(Kim, Sang-young). (2009).우란분재의 의미와 設行 역사. 불교학연구, (22), 173-221

MLA

김상영(Kim, Sang-young). "우란분재의 의미와 設行 역사." 불교학연구, .22(2009): 173-2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