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설가 소설과 ‘구보형 소설’의 계보

이용수 1023

영문명
Genealogy of Novelist Novel and ‘Gubo-Style Novel’: A Novel by Park Tae-Won, , and Novelist Novel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나은진(Rah, Eun Jean)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1집, 95~10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26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박태원의 소설 「小說家仇甫氏의 一日」은 소설가 소설이다. 소설가 소설은 소설과 현실의 경계선이나 소설의 존재의의, 문학 일반론, 작가의 삶 등의 주제에 쉽게 접근하도록 해 주므로, 소설의 자기반영성과 메타픽션적 특징을 통해 소설의 소통양식, 시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등을 드러내기에 유리한 양식이라는 의미에서 우리 소설문학사에 독보적인 존재로서 자리매김 된다. 나아가 “구보형 소설”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소설가 소설의 계보에서 뚜렷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30년대 박태원의 소설에 뒤이어 1970년대 최인훈의 15편 연작소설 󰡔小說家丘甫氏의 一日󰡕과 1990년대 주인석의 5편 연작소설 󰡔검은 상처의 블루스: 소설가 구보씨의 하루󰡕가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 작품들은 소설가가 주인공으로서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여건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소설가의 역할 탐색과 소설쓰기의 의미를 진지하게 고찰하고 소설가의 정체성 확인과 자기반성을 소설쓰기의 형식을 통해 드러낸 작품들이다. 고현학으로서 시대의 인식을 창작기법화한 박태원, 시대에 대한 담론공간을 창작의 원리이자 정체성으로 확보했던 최인훈, 현실의 이면을 과거로부터 탐색하는 주인훈은 각각 소설가 ‘구보(仇甫)’와 ‘구보(丘甫)’, ‘구보’라는 소설속 인물인 소설가로부터 비롯된다. 박태원, 최인훈, 주인석 세 작가의 차이는 바로 그들이 위치했던 시대, 그 시공간성의 차이이며, 각각 자신의 시대에서 사회와 문학의 위기에 대한 문학적 응수이자 대안제시의 한 방법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적 예술가 소설의 하위갈래로서 구보형 소설가 소설은 박태원 이래 현재까지 맥을 이어 창작되고 하나의 계보를 형성할 힘을 얻을 수 있었다고 본다. 다른 소설가 소설들과 달리 한국 현대소설에서 ‘소설가 구보’형 소설들은 특정 시공간성에 대한 편력을 중심으로 자성적 자기반성과 소설가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고 특유의 기법실험과 함께 새로운 소설 세계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특유의 소설작법과 서사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앞으로도 생산적인 소설 창작의 원형이 되어 창작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상호텍스트성의 근원이 됨과 동시에 능동적 힘을 지닌 모티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보형 소설가 소설들은 소설의 위기론에 대한 소설적 대안으로서 항상 한국 소설의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해 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one of novels by Park Tae-Won, is a novelist novel. Since the novelist novel allows us to easily approach to the boundary between a novel and reality, existence meaning of a novel, general considerations on novel or life of the writer, it has been positioned as an unique existence of our history of novel literature in such a sense that it is an advantageous form to unveil communication style of novel and recognition on era and society through features of novel such as self-reflection and metafiction. Moreover, it has occupied a distinctive position in a genealogy of artist novel to the extent that it is called as “Gubo-Style Novel”, since it has constituted a stream from a novel of Park Tae-Won in 1930s, to 15 volumes of novel cycle,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by Choi In-Hoon in 1970s and 5 volumes of novel cycle, 󰡔Blues of Black Wound: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by Joo In-Seok in 1990s. These literary works of which heros are novelists look for the roles of novelist, seriously consider the meaning of writing a novel based on their recognition on the individual,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and unveil their identity confirmation and self-examina- tion through a form of writing a novel. The three novelists including Park Tae-Won who had made the recognition on the era with modernologie into a creation technique, Choi In-Hoon who had secure a discussion space on the era as a creation principle and identity, and Joo In-Seok who had searched the other side of reality from the past have arisen from the novelists ‘Gubo(仇甫)’, ‘Gubo(丘甫)’, and ‘Gubo’ respectively. The dif- ferences between these three novelists are exactly same as those from eras when they were located, so to speak space time differences, and also a kind of literary countermove against social and literary crisis at each own era and one of the methods to suggest alternatives. Hence, it is con- sidered that the Gubo-style novelist novel has been created with keeping up spirits from Park Tae-Won through the current and got the strength to form a genealogy as a subordinate branch of Korean artist novel. Contrary to the other novelist novels, the ‘Novelist Gubo’ style novels of the Korean modern novels have constituted an unique novel writing technique and epic structure in the respect that they have confirmed a reflective self- examination and own identity as a novelist laying stress on the pilgrimage for a certain time and space and sought a new world of novel with a peculiar technique experiment. This means that it may be a root of inter- text to be able to make effect on creation as an original form of produc- tive novel creation and a motive with an active power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hat the Gubo-style novelist novels have contributed to always expand the horizon of Korean novels as the novel alternatives against crisis argument of novel.

목차

Ⅰ. 소설가 소설로서의 ‘구보형 소설’
Ⅱ. ‘구보(仇甫)’와 ‘구보(丘甫)’ 또 ‘구보’
Ⅲ. 고현학과 리얼리티, 그 시공간성
Ⅳ. 다시 ‘소설쓰기’로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은진(Rah, Eun Jean). (2006).소설가 소설과 ‘구보형 소설’의 계보. 구보학보, 1 , 95-105

MLA

나은진(Rah, Eun Jean). "소설가 소설과 ‘구보형 소설’의 계보." 구보학보, 1.(2006): 95-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