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어권의 고구려사 연구 - 고구려에 대한 서구의 일반적 인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229

영문명
Research on Koguryô History in English - With Some Generalizations on Western Perceptions of Koguryô -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마크 바잉턴(Mark E. Byington)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8輯, 53~7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어로 된 최초의 고구려 관련 저작은 주로 옛 사료들을 근거로 주제에 접근했던 선교사 학자들에게서 나왔다. 그렇지만 이들의 연구 성과에는 아무런 비판적 분석이 없었다. 그 뒤를 이은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학자들이 남긴 대표적 연구물을 소개하는 활동이 주로 이루어졌었는데, 이 때 비로소 중요한 분석의 토대가 되어주는 자료들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런 자료들 역시 대다수는 당대를 풍미하던 제국주의적 야심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었다. 1960년대에 나온 가디너와 李玉의 작업은 서구어로 된 고구려 연구의 깊이를 더하는 기초가 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 한국에서 해당분야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중국 및 북한에 남아 있는 유적과 학술사료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짐으로써 많은 연구가 소장학자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2003년 들어 한중 양국 간에 고구려를 둘러싼 역사 분쟁이 시작됨으로써 새로운 양상을 띠게 되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상황은 고구려 연구가 한반도를 벗어나 세계 여러 곳에서 갖가지 새로운 탐구 기회를 연달아 제공해 주었다.
  고구려에 대한 서구 학자들의 인식을 종합하면, 한국 사학계를 지배하고 있는 일반적 사관의 틀을 벗어난 시점에서 고구려를 바라보는 경향이 훨씬 더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들 학자의 대다수는 고구려를 한국사의 일부로 볼 때 가장 다루기가 좋다고 여긴다. 그러나 한 가지 공통된 인식은 그러한 사관에 입각한 역사 서술방식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면, 이 고대 동아시아 국가에 관한 연구 환경을 지나치게 구속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화적 또 역사적으로 한국의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왔던 것들에 대해 고구려가 강한 영향을 끼쳤다고 인정하면서도, 고구려 자체를 하나의 독자적 국가로서 간주하는 편이 훨씬 더 큰 가치를 지닌다. 한중간 역사 분쟁과 관련하여 필자가 확신하는 바는 서구 학자들 중에서 고구려를 중국의 한 나라로 간주하는 성향을 보이는 이는 거의 없다는 것이다(단, 이 문제는 좀 더 명확히 해야 한다). 그것과 동시에, 대부분의 학자들은 고대의 한 국가에 근대의 꼬리표를 달려는 인식에는 문제가 있다고 보고, 그 대신 史的 속성의 문제를 史觀의 기능과 결과로 보려 한다. 이런 점은 아마도 동아시아 외부에서 고구려를 연구하는 이들의 이점이라 할 것이요, 또 서구 학자들이 한국의 해당 분야에 기여하는 가장 가치 있는 점 중 하나일 것이다.
  다만, 영어권 학문의 한 분야로서 고구려 연구의 한 약점은, 해당분야의 전문가 수가 부족해서 학술적 토론이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고구려 고분벽화를 전공하는 학자들은 더러 있지만, 그 외의 영역에서는 학자들의 관심이 거의 없어 건강한 학문적 토론을 실행할 수 없을 정도다. 이런 상황은 서구 학자들이 한국 학자들에게 자신들의 견해를 (수용은 둘째 치고) 참고하게 하고자 할 때 맞닥뜨리는 어려움 때문에 더욱 악화되는 실정이다. 그 어려움은 이들의 견해가 한국의 정통이론에서 두드러지게 벗어난 경우 특히 더하다. 영어권에서 이 분야가 발전하려면 국경을 넘나드는 상호교류와 대화를 더욱 늘려야 함을 현 상황이 일깨워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history of Kogury? studies in western languages and particularly in English has been set forth in outline above. The earliest survey treatments in English were produced by missionary scholars and provided an outline of Kogury? history based on classical sources, but they offered no critical analysis. The next phase saw the introduction of representative examples of Japanese scholarship of the Colonial Period, which provided some basis for critical analysis but was also shaped largely by the imperialistic designs of that day. Of a different category were the early explorations by French scholars, which unfortunately proved to be abortive in that they trained no successors in the field. In the 1960s the works of Gardiner and Li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further focused studies of Kogury? in western languages. In the 1990s numerous studies by younger scholars appeared, prompted in part by the development of the same field in South Korea and by the renew ed access to sites and scholarship in China and North Korea. From 2003 these studies entered a new phase defined in part by the history disputes centered on Kogury? , but this has had the effect of promoting Kogury? studies well beyond the Korean peninsula and has opened up an array of new opportunities just beginning to be explored.
  To generalize western scholarly perceptions of Kogury?, it is fair to say that western scholars have a greater tendency to view Kogury? outside of the traditional historiographic framework that predominates in Korea. Although most of those scholars see Kogury? as a subject best treated as part of Korean history, there is a common understanding that holding too close to that historiographical depiction creates an overly restrictive environment for the study of this early East Asian state. It is of far greate rvalue to look at Kogury? on its own merits as a state, while recognizing that its legacy strongly influenced what came to be generally recognized as culturally and historically Korean. With regard to the history dispute, the present author believes that very few western scholars would tend to view Kogury? as a Chinese state(howeverthatistobedefined). At the same time, most would prefer to problematize the notion of assigning an ancient state such a modern label and would instead look at the matter of historical attribution as a function and result of historiography. This is perhaps the advantage to studying Kogury? outside of East Asia, and it may be one of the most valuable contributions western scholarship might make to the field in Korea.
  Survey histories written by scholars who specialize in East Asian regions other than Korea tend to treat Kogury? as an incipient Korean state (the author cannot recall ever seeing one that treated it as a Chinese state). Accordingly the name is rendered in modern Korean pronunciation as either Kogury? or Kogury?. Examples are the Cambridge histories of China and Japan, which treat Kogury? principally as a Korean state.
  One of the drawbacks in Kogury? studies as a field in English is the lack of scholarly debate, due to there being so few specialists in the field. While there are a small number of scholars who specialize in Kogury? tomb murals, other areas of Kogury? studies are so sparsely represented that healthy academic debate is impracticable. This situation is exacerbated by the difficulties western scholars face in getting Korean scholars to consider, much less accept their views, particularly when those views depart substantially from the orthodoxy in Korea. This situation calls for increased interaction and dialog across borders in order to develop the field in English.
  In summary, it is probably accurate to say that Kogury? studies in English are still in their early developmental stage. These studies have lagged behind studies of modern Korea, for example, as have all studies of Korea’s early period. There hav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초창기
Ⅲ. 1945년 이후의 고구려 연구
Ⅳ. 최근 동향
Ⅴ. 관심의 이동
Ⅵ.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마크 바잉턴(Mark E. Byington). (2008).영어권의 고구려사 연구 - 고구려에 대한 서구의 일반적 인식을 중심으로. 선사와 고대, 28 , 53-71

MLA

마크 바잉턴(Mark E. Byington). "영어권의 고구려사 연구 - 고구려에 대한 서구의 일반적 인식을 중심으로." 선사와 고대, 28.(2008): 53-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