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 출토 漢代 화폐와 그 의미 - 古朝鮮 멸망이후 삼한지역 교역체계의 변동과 관련하여

이용수 725

영문명
The Significance of Coins from the Han China Period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r. : In relation to changes of exchange system in the Samhan(三韓) area after Old-Chosun"s collapse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박선미(Park Sun-Mi)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8輯, 255~29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0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기원전 1세기 이후 한반도의 화폐 출토 양상에 변화가 있음을 주목하고 화폐의 확산과 함께 나타나는 漢物의 증가현상을 고조선의 멸망과 한군현의 설치라는 정치적 변동과 연동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반도에서 발견된 화폐유적의 지리적 분포와 출토 현황을 지도와 도표로 정리하였다. 북부의 경우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중부 이남의 경우 내륙과 해안의 교통로를 따라 화폐유적이 분포하고 있었다. 이는 고조선 시기의 화폐유적이 주로 압록강-대동강 일대에 散在하고 그 이남에는 분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현상이다. 또한 평양 일대에서 발견된 반량전 거푸집은 그동안 한군현 설치 이후로 편년되면서 낙랑군의 鑄錢을 보여주는 고고학 자료로 해석되었으나 이 거푸집은 이미 고조선 시기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런데 고조선이 멸망한 기원전 1세기가 되면 중부 이남으로의 화폐유입 현상 외에도 漢鏡, 馬面, 帶鉤, 낙랑계토기 등 한나라의 문물과 한나라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유물의 출토가 증가한다. 이는 고조선의 멸망이 삼한지역의 교역체계에 변동을 일으킨 원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의미한다. 즉 고조선이 수행한 완충교역이 사라지면서 삼한사회의 제한적 對漢 교역은 한나라에 의해 설치된 낙랑군을 통한 직접교역으로 변화되었다. 漢-古朝鮮-辰國의 교역 관계에서 漢-(한군현)-삼한이라는 새로운 교역 관계가 들어섰던 것이다.
  완충교역의 소멸은 곧 삼한지역의 교역확대를 의미하였으며, 한반도 중부 이남의 정치세력 간 교역 또는 대외교역체계의 변동을 일으킨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對倭교역의 확대와 집단 간 계층화를 촉진시켰다. 문헌에 辰國으로 대표되는 한반도 중부 이남의 정치체가 三韓으로 대체되는 것도 단위집단의 특정 상품에 대한 접근성이 보다 수월해지면서 지역집단간의 차별화와 집단 내 계층화를 촉진시킨 결과로 파악하였다.

영문 초록

  In 1 B.C., after the collapse of Old-Chosun, there are changes in excavation aspects of coins in the Korean Peninsular. Fewer numbers of coin assemblages were found in northwest Old-Chosun, and among them, more were unearthed from tombs. Compared to the rare discoveries before, significantly increased Han China coin collections have been revealed in the central-southern region; coins such as Banliang coins(半兩錢) and Osoo coins(五銖錢).
  So far 30 sites have yielded coins from the Han Dynasty period. All sites in the northwest Korean Peninsular were discovered mostly centering on Pyungyang(平壤) and its environs while more finds were located along the shoreline than inland in the central-southern area.
  These shifts seem to have a connection with Old-Chosun"s collapse. The coin appearance in central-southern Old-Chosun implies the disappearance of Old-Chosun, which played as a Buffer Zone Trader in that region. Old-Chosun was located between China (the Han Dynasty, then) and Samhan(三韓, adjoining three forces in central-southern of the Korean Peninsular), and made a route to pass Chinese culture to Samhan. Old-Chosun also controlled trade with it.
  However, once Old-Chosun fell, the trade between two regions went under direct control of Hansagoon(漢四郡), four Han Chinese commanderies. Afterwards, Samhan started accepting full culture from Han Dynasty and exchange items between became greater in number. The increased discovery of Han Chinese Style Bronze Mirror from Samhan ruins demonstrates this well.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지리적 분포와 특징
Ⅲ. 출토 화폐의 종류와 유적 검토
Ⅳ. 삼한지역의 교역확대
Ⅴ.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미(Park Sun-Mi). (2008).한반도 출토 漢代 화폐와 그 의미 - 古朝鮮 멸망이후 삼한지역 교역체계의 변동과 관련하여. 선사와 고대, 28 , 255-291

MLA

박선미(Park Sun-Mi). "한반도 출토 漢代 화폐와 그 의미 - 古朝鮮 멸망이후 삼한지역 교역체계의 변동과 관련하여." 선사와 고대, 28.(2008): 255-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