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百濟의 左輔와 右輔

이용수 214

영문명
The Jwabo(左輔) and Ubo(右輔) of Baekje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박수정(Park Soo-Jeo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8輯, 293~31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0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백제 左?右輔는 고이왕때 16관등제가 정비되기 이전에 존재했던 최고 관직의 명칭이다. 이에 관한 연구는 백제 초기의 部 문제와 관련하여 언급되어 왔으나, 고구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듯하다. 그런데 좌?우보의 존재는 백제 이외에 고구려나 중국에서도 확인되므로 이들의 용례를 살펴보면 백제의 좌?우보에 대해서도 좀 더 적극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을 것이다.
  중국에서는 먼저 천자를 보필하는 四隣의 하나 또는 황태자를 보좌하는 관직으로 설치된 좌보가 확인되는데, 이는 상징적인 의미가 컸던 관직이며 실질적으로 운영된 적이 거의 없었다. 이 외 漢대에 수도 방위 및 경기 지역 통치책의 일환으로 京輔와 함께 좌ㆍ우보의 三輔가 설치된 바 있는데 이는 수도를 중심으로 좌ㆍ우의 통치 및 경제적ㆍ군사적 문제를 책임지던 지역 및 그 治民官을 부르던 말이었다. 한편 고구려에서는 大輔 및 좌ㆍ우보가 모두 확인된다. 이들 좌ㆍ우보는 왕의 측근으로서 “軍國之事”를 위임받아 왕의 政事에 적극적으로 간여하는 재상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군사적 성격 또한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신라의 경우 좌ㆍ우보는 보이지 않고 “군국지사”를 위임받은 大輔만 확인되며, 이는 당시 토착계와는 구분되는 세력에 붙여진 명칭이었던 듯하다.
  백제의 좌ㆍ우보 관련 기록은 온조왕과 다루왕대에 5건이 보이고 약 200여년 간 나타나지 않다가 고이왕대에 다시 나타난다. 특히 처음 왕의 族父 을음이 우보에 임명되었던 것은 왕의 인척이 왕권을 보좌하는 초보적 형태의 관직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백제의 우보는 특별히 “兵馬之事”를 관장했다고 하므로, 백제의 우보는 특히 군사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었던 듯하다. 이러한 점은 部名을 관칭한 우보 및 좌보에서도 확인된다. 이들은 한성을 둘러싸고 북쪽과 동쪽의 방위를 책임지면서 그 지역에서 경계를 맞대고 있던 낙랑 및 말갈과 교전하였다. 이시기 백제 좌ㆍ우보는 在地에서 어느 정도 독자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들이 대보가 아닌 우보와 좌보로 편제되었다는 점을 보면, 일찍부터 왕권과 밀착된 성향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명칭상 좌?우보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그 지리적 중요성과 군사적 특성, 치민관의 성격 등이 漢 長安의 통치를 담당했던 三輔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고구려의 좌ㆍ우보도 고구려 초기에 최고관직으로 기능하였다는 점과 왕의 측근으로서 군사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에서 백제의 좌?우보와 비슷한 면을 지닌다.
  고이왕의 즉위 이후 우보는 그 성격이 변화하였다. 즉 고이왕 대에는 우보가 등장하기 전좌장이 따로 설치되어 병마사를 위임받았으므로, 우보는 본래의 역할을 좌장에게 내어주고 왕에 대한 정치적 자문 및 의견수렴의 역할을 했던 듯하다. 좌?우보는 실질적으로 전쟁에 참여하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左將보다는 兵官佐平의 성격과 유사했을 것이다. 이들은 古爾王 27년 집권체제가 정비되면서 특히 兵官佐平과 계기성을 가지며 흡수, 소멸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Jwabo(左輔) and Ubo(右輔) of Baekje(百濟) existed for more than 200 years in early times of Baekje. But there were bo(輔) type of official positions in Goguryeo and Shilla too, and also we can find jwabo and u-bo in Chinese history. Therefore, we should look at those positions first.
  In China, Jwabo was worked as one of the Sarin(四隣), who assisted a King and a advisor for the Crown Prince. Moreover, There were Jwabo, Ubo and Gyeongbo(京輔) in Han(漢) Dynasty to defend a capital and rule over a capital efficiently. In Goguryeo(高句麗) there were Jwabo, Ubo and Daebo(大輔). Daebo was a symbolic position, but Both Jwabo and Ubo in Goguryeo worked as the prime minister taking parts in politics and national defence. In Shilla(新羅), there was only Daebo. It is worthy of notice that at first Talhae(脫解), Hogong(瓠公) and Algi(閼智) who took the position of Daebo were all strangers of Shilla. That of Shilla were advisors to king and it is similar to a role of Goguryeo"s Daebo.
  Records of Jwabo and Ubo in Beakje are found 5 times in period of King Onjo(溫祚王) and King Daru(多婁王), And 2 times in period of King Goi(古爾王) after 200 years of gap. Especially, appointing Ueleum(乙音) as a first Ubo was to assistant King. Bur later Ubo in Baekje charged national security and particularly managed military affairs. We can also find people who were in the position indicated their post like Dongbu(東部) and Bukbu(北部) in front of their name in historical materials. They used to surrounded a capital and take charge of defence in north and east side and battled with Nanglang(樂浪) and Malgal(靺鞨).
  These situations would be similar with Sambo(三輔) in Han(漢) Dynasty because they were also installed around a capital and charged with defence. Moreover Jwa-bo and Ubo in Goguryeo were comparable with ones in Baekje in the part of managing military affairs. In this period, Jwabo and Ubo in Baekje had their own identity, but they were more close to King.
  In Baekje Ubo showed up again in King Goi(古爾王). However before that, Baekje installed Jwajang(左將) and entrusted a role of national defence to it. Thus character of Ubo in King Goi would be different from before and it would support politics and collect vassal"s opinions. In 260, reorganizing govern systems, Ubo in Baekje handed over its roles to Byeonggwanjwapyeong(兵官佐平) and disappeared.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中國ㆍ高句麗ㆍ新羅의 “輔”系 官名
Ⅲ. 溫祚王ㆍ多婁王代의 左ㆍ右輔
Ⅳ. 古爾王代의 右輔
Ⅴ.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정(Park Soo-Jeong). (2008).百濟의 左輔와 右輔. 선사와 고대, 28 , 293-319

MLA

박수정(Park Soo-Jeong). "百濟의 左輔와 右輔." 선사와 고대, 28.(2008): 293-3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