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산물시장개방과 농업농촌문제의 심화
이용수 810
- 영문명
- Market Liberalization and Aggravation of Agricultural and Rural Problems
- 발행기관
- 한국사회경제학회
- 저자명
- 박진도(Park Jin-do)
- 간행물 정보
- 『사회경제평론』 제29 (1)호, 423~45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1.28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1980년대 말 이후 농산물시장개방이 본격화된 배경과 그에 대한 정부의 대응 그리고 농업ㆍ농촌문제의 심화 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에서의 농산물시장개방은 한편에서는 한국경제의 대외개방과 산업구조의 변화, 다른 한편에서는 농산물시장개방에 대한 내외의 압력에 의해서 추진되었다. 가트 우루과이 라운드의 타결은 농산물시장개방을 강요한 외압이라고 한다면, 자유무역협정의 체결에 따른 농산물시장개방은 우리의 자발적 선택이다. 농산물시장개방에 대응하여 한국정부는 농업구조개선을 통해 국제경쟁력 있는 농업의 육성을 목표로 하였지만 성공하지 못하였다. 경쟁력제일주의에 기초한 엘리트 농정은 농촌지역의 쇠퇴, 환경악화, 농산물의 과잉생산, 농가 계층간 격차 심화 등을 초래하였고, 농가를 벗어나기 어려운 부채의 늪에 빠뜨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agricultural market opening since the late 1980s, and its affects on agricultural-rural problems. Agricultural market liberalization in Korea was driven by the structural change of Korean economy and the external-internal pressure to market opening. While the Uruguay Round of GATT was the external pressure, however, the contracts of free trade agreement like Korea-Chile FTA and Korea-U.S. FTA were the domestic choices or pressures from Korean economic world. In order to cope the new opening challenge, Korean government aimed to enhanc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agriculture by the structural adjustment policies. However, it fail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power of Korean agriculture, but caused aggravation of agricultural-rural problems such as rapid decrease of rural populati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 fall in prices owing to over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widening the gap among farmers. This paper also suggested basic reform of the paradigm of agricultural policies for rehabilitating the Korean agriculture and rural society.
목차
Ⅰ. 머리말
Ⅱ. 농산물시장개방농정의 전개과정
Ⅲ. 농업구조의 변화와 농업농촌문제의 심화
Ⅳ. 맺음말 - 위기의 한국농촌,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Ⅱ. 농산물시장개방농정의 전개과정
Ⅲ. 농업구조의 변화와 농업농촌문제의 심화
Ⅳ. 맺음말 - 위기의 한국농촌,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산물시장개방과 농업농촌문제의 심화
-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변화와 한국학계의 수용(1960-2006년)
- 민주화 이후 소득분배와 국가의 역할 변화
- 민주화 이후 20년, 한국사회경제학회 20년 - 전환 시대 한국 진보경제학의 길
- 1987년 이후 노동문제와 민주 노조운동의 대응
- 부동산 정책의 역사와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
- 대-중소기업 관계의 변화 - 양극화 심화 및 연관관계 약화
- 1987년 이후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흐름
-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경제(론)의 정치경제학
- 비주류 경제학 - 해외 동향과 국내 연구
- 한국사회경제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특집호 - 민주화 이후 20년: 한국경제와 경제학
- 한국의 금융시스템 변화와 금융화 발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Journal of APEC Studies Vol.16 No.2 Contents
- Global CIP Deviation Factor
- Analysis of Trade Remedies Provisions of Some APEC Members’ FTA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