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동산 정책의 역사와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
이용수 1260
- 영문명
- History of Korean Real Estate Policies: Why Is Market-friendly Public Concept of Land Necessary?
- 발행기관
- 한국사회경제학회
- 저자명
- 전강수(Jun Gang-Soo)
- 간행물 정보
- 『사회경제평론』 제29 (1)호, 373~421쪽, 전체 4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1.28
8,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438/43803.jpg)
국문 초록
부동산 투기의 근본 원인은 토지 불로소득에 있다. 이를 해소하지 않으면 부동산 투기를 근절할 방법은 없다. 토지보유세 강화는 토지 불로소득 해소에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이런 인식을 기초로 민주화 이후 현재까지 각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비교 검토하고,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모색해 본 것이다.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적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지만, 역대 정부와 비교할 때 질적으로 진일보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역대 정부가 매번 추진하다가 실패했던 보유세 강화 정책을 실행에 옮겼고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점이다. 부동산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 제도의 철학과 원칙, 장단기 정책, 그리고 주거 복지 정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root cause of the real estate speculation problems lies on unearned income from lands. There is no way to exterminate the real estate speculation without solving the unearned income problem. Intensifying the land value tax is one of the best ways to get rid of the unearned income.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paper tries to compare the real estate policies of the Korean administrations since the late 1980"s and propose a new set of policies that is necessary in Korea. Although the real estate policy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has various problems, it cannot be denied that it has accomplished some progress in quality, when compared to those of the former administrations. In specific,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at the Roh administration brought the measures to intensify the land value tax into practice, the very policy that every other administration since the late 1980"s had failed to implement. From now the government needs to frame a new set of the real estate policies named Market-friendly Public Concept in Land. This paper presents a research on Market-friendly Public Concept of Land, including its principles, long and short term policies, and housing welfare policy.
목차
Ⅰ. 머리말
Ⅱ. 토지보유세 강화: 부동산 투기 근절의 기초
Ⅲ. 1980년대 후반 이후 부동산 정책의 전개
Ⅳ. 과녁을 벗어난 부동산 정책 대안들
Ⅴ.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이 정답이다
Ⅵ. 맺음말
참고문헌
〈부표〉 연도별 주요 부동산 정책 및 가격 변동
ABSTRACT
Ⅱ. 토지보유세 강화: 부동산 투기 근절의 기초
Ⅲ. 1980년대 후반 이후 부동산 정책의 전개
Ⅳ. 과녁을 벗어난 부동산 정책 대안들
Ⅴ.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이 정답이다
Ⅵ. 맺음말
참고문헌
〈부표〉 연도별 주요 부동산 정책 및 가격 변동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산물시장개방과 농업농촌문제의 심화
-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변화와 한국학계의 수용(1960-2006년)
- 민주화 이후 소득분배와 국가의 역할 변화
- 민주화 이후 20년, 한국사회경제학회 20년 - 전환 시대 한국 진보경제학의 길
- 1987년 이후 노동문제와 민주 노조운동의 대응
- 부동산 정책의 역사와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
- 대-중소기업 관계의 변화 - 양극화 심화 및 연관관계 약화
- 1987년 이후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흐름
-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경제(론)의 정치경제학
- 비주류 경제학 - 해외 동향과 국내 연구
- 한국사회경제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특집호 - 민주화 이후 20년: 한국경제와 경제학
- 한국의 금융시스템 변화와 금융화 발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Journal of APEC Studies Vol.16 No.2 Contents
- Global CIP Deviation Factor
- Analysis of Trade Remedies Provisions of Some APEC Members’ FTA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