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arine Scientific Research in the East Sea

이용수 27

영문명
Marine Scientific Research in the East Sea
발행기관
한국해사법학회
저자명
Chang-Wee Lee Chan-ho Park
간행물 정보
『해사법연구』海事法硏究 第19卷 第2號, 133~15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 한일어업협정에는 한일양국의 주장이 중복되는 수역에 두개의 중간수역이 설치되었다. 이는 양국이 잠정 기간 동안 해양경계선의 획정이라는 민감한 문제를 유보하기로 합의함으로써 가능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간에는 앞으로 해양경계와 관련하여 몇 가지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일간에 새로운 어업협정이 안정적인 상태에 이르렀지만 한국과 일본은 여전히 해양자원관리, 해양환경보호, 해양과학조사 등 몇 가지 중요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그 중에서 해양과학조사 문제는 일본이 독도 근해에서 해양과학조사를 시도한 2006년부터 양국간에 아주 민감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해양과학조사는 해양자원의 관리 및 해양환경보호의 기본적인 전제조건이 되기 때문에 관련 국가들이 해양과학조사의 수행에 대하여 합의를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여 한국과 일본간의 중간수역에 있어서 공동해양과학조사에 관한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특히 중간수역의 법적 성격에 대한 논란, 이들 수역의 이중적 성격, 국제법상 및 한국에 있어서 해양과학조사, 중간수역에서의 해양과학조사 등에 대하여 고찰하고 결론적으로 향후 전망을 제시하였다.
  한일간에 해양과학조사와 관련한 대립을 피하기 위해서는 해양경계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독도의 영유권 문제로 그것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해양경계선을 최종적으로 결정할 때까지 해양과학조사를 다루는 잠정적인 협정을 체결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new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two intermediate/provisional zones were established in the overlapping zones in the seas of Northeast Asia. This was made possible by the two coastal States’ agreement to shelve delicate issues o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Therefore, many more agreements have yet to be reached on maritime boundaries between Korea and Japan.
  While the new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has entered a stable stage, it is also true that Korea and Japan still face some outstanding issues, which include marine resources management,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marine scientific research, and so forth. Among these, marine scientific research has emerged as the most delicate problem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2006. As marine scientific research is a basic precondition for the management of marine resources and the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relevant states are apt to disagree on the conduct of marine scientific research.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examined in this article the relevant issues regarding joint marine scientific research in the Korea-Japan intermediate/provisional zones.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debate surrounding the legal status of the intermediate/provisional zones, the dual nature of these zones, MSR in international law as well as in Korea, and MSR in the intermediate/provisional zone.
  In order to avoid the confrontation concerning the marine scientific research between Korea and Japan, it seems that the best way is to conclude an agreement on delimitation in the Korea-Japan intermediate/provisional zones. If it is not possible due to the conflict about the ownership of Dokdo, Korea and Japan may conclude an agreement provisionally to deal with the marine scientific research pending the final determination of marine boundary.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Introduction
Ⅱ. Debate on the Legal Status of Intermediate/Provisional Zones
Ⅲ. Dual Nature of Intermediate/Provisional Zones
Ⅳ. MSR under the 1958 Geneva Conventions and the 1982 LOS Convention
Ⅴ. MSR in Korea and the Intermediate Zone in the East Sea
Ⅵ. Concluding Remarks
Bibliograph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Chang-Wee Lee,Chan-ho Park. (2007).Marine Scientific Research in the East Sea. 해사법연구, 19 (2), 133-151

MLA

Chang-Wee Lee,Chan-ho Park. "Marine Scientific Research in the East Sea." 해사법연구, 19.2(2007): 133-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