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세기 조선지식인의 독서방법에 관한 고찰

이용수 747

영문명
A Study on Reading Methodology of the Intellectual Elite in 18th Century of Chosun
발행기관
한국출판학회
저자명
노병성(Roh Byung-Sung)
간행물 정보
『한국출판학연구』통권 제52호, 117~15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8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독서방법을 고찰할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18세기 조선시대의 출판문화의 조건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조선 지식인들의 독서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하게 산재해 있는 당시의 독서와 출판관련 문헌들을 탐구하여 그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18세기는 출판문화가 생산의 측면에서 보나, 유통의 측면에서 보나 이전에 비해서 모두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이는 독자의 도서수용이 원활했음을 말해 주는 것임과 동시에 독자의 독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사회적인 여건이 조성되어 있음을 말해준다. 조정에서는 성리학을 중심으로 출판문화를 융성케 했으며, 민간인들 사이에서는 사가판(私家板)과 방각본(坊刻本) 등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독자적인 출판문화를 형성해가고 있었다. 서적의 유통은 반사(頒賜), 역관(譯官), 서쾌(書?), 서사(書肆), 세책(貰冊), 노점상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18세기 조선 지식인은 성리학적 전통의 고수와 증가하는 새로운 지식사이에 인식적 갈등을 겪게 되었고, 이는 전통적인 독서관을 따르려는 경향과 다른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독서방법으로는 늘어나는 지식을 섭렵할 수 없다는 판단 아래 새로운 독서방법을 개발하게 하는 문화적 압력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 인해 18세기 지식인들은 전통적인 독서방법의 고수와 새로운 독서방법을 혼재해서 사용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따라서 당시 지식인들은 전통적인 독서방법을 계승하는 한편 증가하는 지식의 획득과 정보의 선택을 위해서 새로운 독서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는데, 이에는 음독에서 묵독으로 이행하는 간서의 독서법, 해득한 것이 있으면 잊지 않기 위해서 빨리 써 두었던 질서의 독서법, 책을 읽으면서 중요한 부분이나, 필요한 부분을 메모하여 일종의 독서카드를 만드는 초서의 독서법 등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reading methodology of the intellectuals in the 18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In order to do this research, I had to study the way publishing businesses worked and also learning about the reading methodology of the Chosun dynas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I focused more on the various reading habits and publishing strategie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publishing business were very active in production and trade. That means readers at this time were demanding more published books. Books became an important aspect of their culture. The Government also supported increase of the reading of books. In addition to this, civilians were starting to publish reading materials independently for their own personal reasons. For example, rather than publishing a book at a company, they did it at home through a usage of a wooden board. They sold their books through many official stores and street peddlers.
  Scholars in Confusionism who were more traditional in their thinking supported old ways of methodology. On the contrary, the elites felt that these conservative modes would not meet up to their present expectations of reading methodology. Therefore, they were developing their own methods of reading skills. Within this reading culture, they were using two different reading methods ; tradition mode of reading habits and more practical ways of reading methods. While practicing the more traditional way, they at the same time used the practical ways to obtain new knowledge and updated information. The new technical ways of reading styles were developed evolved from vocal reading to silent reading. In order to not forget important information, they started taking memos and collecting information through noted index cards.

목차

Ⅰ. 서론
Ⅱ. 18세기 조선시대 출판문화의 조건
Ⅲ.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독서방법
Ⅳ. 결언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병성(Roh Byung-Sung). (2007).18세기 조선지식인의 독서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출판학연구, , 117-158

MLA

노병성(Roh Byung-Sung). "18세기 조선지식인의 독서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출판학연구, .(2007): 117-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