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출판학 교육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9

영문명
A Study on Korean Education in the Area of Publication
발행기관
한국출판학회
저자명
김선남(Kim Sun-Nam)
간행물 정보
『한국출판학연구』통권 제52호, 59~8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최근 한국 출판학 교육이 획기적인 변화를 시도하여야 한다는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출판학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하여 왔고, 또한 그러한 변화 속에서 노출된 문제점이 무엇인지, 향후 어떤 방향으로 출판교육이 바뀌어야 할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한국 출판학 교육의 현황이 어떠한가? 둘째, 한국 출판학교육의 구조적 문제 및 대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자료 및 인터넷 조사 자료 분석에 의거하였다. 즉 본 연구는 최근 발표된 출판 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기존문헌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출판학 교육과정에 설치된 대학을 중심으로 그들의 인터넷 사이트 자료를 활용하였다. 즉 이를 통하여 각 학과의 출판학 교과목의 현황이외에도 전공 필수나 교양과목에 관한 규정, 학과의 설치 목적, 관련된 교수 수 등의 특성을 살폈다. 대학에서 출판학 교육은 종이책의 기능을 선택, 제작, 분배 및 사회적 기능과 영향 등에 관한 사회학적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최근 비약적인 테크놀로지 발달과 더불어 나타난 미디어융합 현상으로 인하여 출판학 교육은 그 범위를 확대하였다. 즉 최근 출판학 교육은 종이책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은 물론 비종이책, 즉 사이버상의 출판행위에도 집중하고 있다. 출판학 교육이 정규대학 커리큘럼 속에서 이루어진 시점은 금년으로 꼭 50년이 된다. 최근 급변하는 현대 학문의 세계에서, 그리고 경쟁적인 대학의 구조적 특성에서 볼 때 출판학의 50년의 정규대학 교육기간은 결코 짧지 않다. 한국에서 출판학은 출판현상을 기술하고 설명, 비판, 통제하는 하나의 학문으로서 확고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학문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출판학 교육의 특성은 2년제 대학에서는 출판계에 진출하는 인력의 기능교육을, 특수대학원 과정에서는 출판학연구 및 경력자 심화 보수 교육을 담당한다는데 있다. 그러나 최근 한국 출판학 교육은 대학의 경쟁적인 신입생 유치구조 속에서 평가절하 되고 있다. 따라서 출판업계 및 학계는 물론 우리 사회 전체가 출판의 사회적ㆍ문화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이러한 출판학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특히 출판학계는 출판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회 변화 및 매체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dealt with an issue whether or not Korea has to initiate a drastic change in educating publication. Its focus was placed on reviewing major changes made in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problems found in the changes, future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Two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raised in the paper : first,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 second, what is the structural weakness of the program and what can we do to resolve i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brary research and internet search. A number of research papers presented in the field of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were reviewed and web-sites of publication departments were searched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data, the purpose of publication departments, course managements, and professor number were examined. The analyses showed that from the very beginning,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has taught the whole processes from manufacturing to distribution of paper book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hey also showed that new technologies and media integration have pushed it to expand its territory as much as to include publication activities made in the cyber zone. 50 years have passed since a number of 4 year universities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publication and taught a wide spectrum of courses. A history of half century is not short, considered especially from the high competition found in the academia. During that period of time, not without a challenge,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has taken a solid root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in Korea while performing such important functions as describing, explaining, criticizing, and controlling the phenomena of publication.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found in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is that 2-year colleges aim at producing technicians, while special graduate programs provide cutting-edge knowledge and new trends to those who have been working in publication area. This feature has been changed drastically in recent years. A high level of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for recruiting freshmen has place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The values of teaching publication classes are under-evaluated so less as to be ignored. Under the new environments evolving in higher education area, people in publication industry and academia have to pay more attention to resolving year old problems while advocating the social and cultural importance of publication to the host society. More than anything else, they have to be more interested in establishing academic identity and developing a new education paradigm which can be used as a ground stone in copping drastic changes made in media environment and overall society.

목차

1. 서론
2. 기존연구검토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한국 출판학 교육의 현황 및 특성
5.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남(Kim Sun-Nam). (2007).한국의 출판학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 59-85

MLA

김선남(Kim Sun-Nam). "한국의 출판학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2007): 59-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