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의 장애인 평생교육 기반과 시사점

이용수 794

영문명
The Foundations and Impl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U.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정인숙(In Suk Jeong)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1권 제4호, 173~19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0
3,1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의 장애인 평생교육 기반과 시사점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장애인 평생교육의 실행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DEA의 2004년 개정안은 16세의 전환서비스 시작, 성인교육과 결과 지향적인 절차, 아동의 강점 고려, 평가부분을 강조하였고, NCLB도 평가, 높은 질의 교사, 부모의 권리 등을 강조하였다. 둘째, 미국의 장애인 지원체제는 연방, 주, 지역 수준에서 행정, 입법, 사법이 관련되어 교육을 지원하고 있으며, 미국의 장애인 지원기관은 국가 및 지역수준에서 중등교육과 전환을 위한 국가센터(NCSET), 국가정보센터(NICHCY), 지역사회 발달장애 조직(CDDO) 등이 있다. 셋째, 우리나라의 장애인 평생교육 시행방안으로는 장애인 평생교육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특수교육진흥법 및 기타 관련법에서의 법제화 및 특수교육 행정 체제의 확대,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기관으로 장애인 평생교육지원센타를 국립특수교육원내에 설치하고 전국의 특수교육지원센타를 연계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pplicable plans to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is research is conducted by investigating laws, supporting systems, and the present status in supporting institutions for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U.S.
  First, IDEA and NCLB which are laws relati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U.S have revised in 2004. In the amendment, IDEA emphasizes the beginning of transition service at the age of 16, outcome-oriented procedures in adult education, considerations on children"s strength, and the assessment. Not only IDEA but also NCLB stressed evaluation, fully qualified teachers, and the rights of parents.
  Second, the supporting systems upon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U.S is supported by the levels of areas- federal, state, and local, involving the roles of government- adminstration, legislation, judicature. Moreover, there are the supporting institutions for disabilities in U.S. such as NCSET, NICHCY, and CDDO to realize secondary education and conversion on each level of areas and roles of government.
  Third, this research presen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through the applicable plans to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 Make a law in order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xpand the administrative systems for special education, Establish a special institution in KISE(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for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Link all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ing centers to build the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국의 교육 관련법에서의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내용
Ⅲ. 미국의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지원체제 및 지원기관
Ⅳ. 우리나라 장애인 평생교육의 실행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인숙(In Suk Jeong). (2007).미국의 장애인 평생교육 기반과 시사점. 특수교육학연구, 41 (4), 173-193

MLA

정인숙(In Suk Jeong). "미국의 장애인 평생교육 기반과 시사점." 특수교육학연구, 41.4(2007): 173-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