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초등학교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 촉진을 위한 관련변인 간 관계 모형개발 및 검증 - 통합학급 담당 일반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665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del for Implementing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 Focused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강경숙(Kang Kyung Sook) 송준만(Song Joonman)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1권 제4호, 107~13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0
3,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학생이 물리적, 사회?심리적으로 통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교과학습 시간에 의미있게 참여하도록 하기 위한 ‘통합’을 핵심주제로 다루었다. 이를 성취하기 위한 관련변인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내용을 추출하여 장애학생의 통합에 대한 관계의 모형을 개발하고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모형은 가설적인 구조라 할 수 있는 잠재변인과 척도를 통해 직접 측정되는 문항으로 형성되는 측정변인으로 구성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5개의 잠재변인과 16개의 측정변인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모형에서 독립변인이라 할 수 있는 ‘학교환경적 여건’과 ‘교사개인적 특성’이 ‘교사 간 협력’, ‘교수적 수정’, ‘통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 두 변인은 ‘교사 간 협력’과 ‘교수적 수정’을 거쳐 ‘통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직접 경로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의 가설이기도 하다. 측정도구의 개발 및 자료수집 절차로는, 우선 이론적 탐색을 토대로 내용을 추출한 후,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현장교사 및 통합교육 연구경험을 지니고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다수의 문항검토 과정을 거쳐 모형의 검증을 위해 최종적으로 5점 척도 측정도구 150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적합치도와 탐색적 요인분석과 같은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을 정제하였다. 이론구조의 검증결과, ‘학교환경적 여건’이 ‘교수적 수정’과 ‘통합’에 미치는 영향, ‘교사개인적 특성’이 ‘통합’에 미치는 3개의 경로를 제거하고 수정지수를 고려한 오차항을 연결함으로써 적합도지수를 향상시켜 모형을 수정하였다. ‘교사개인적 특성’이 ‘학교환경적 여건’에 비해 ‘교수적 수정’, ‘통합’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으며,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이나 지식보다 의지와 같은 정의적 측면이 ‘교수간 협력’과 ‘교수적 수정’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was on the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y which supports their meaningful involvement into classroom academic activities as well as their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integration into school lif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investigate many inclusive factors and theories in this stud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riables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e inclusion settings.
  SEM refers to a model with multiple measurement variables for each latent variable or factor. The SEM model specified in this research took into account multiple latent variables each measured by multiple indicators. Factors conduc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5 latent variables and 16 measurement variables.
  The measurement model in this study assumed direct and indirect structural paths(relations) within the data. For example, the independent latent variables, the school environment condition and personal teacher’s characteristics had direct effects(arrows) on the teacher’s cooperation, curricular adaptation, and inclusion factors. In addition, the former both factors were indirectly connected with the inclusion through the teachers’ cooperation and curricular adaptation. These relation paths were constructed by the basis of assumption.
  According to theoretical studies, the data to develop the measurement instrument was extracted and collected. After reviewing the selected data, the thirteen inclusion experts including school teachers and experienced researchers conclusively decided the measurement instrument comprised of 150 items scoring a 5-point Likert-type scale. This practice prov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e 203 general teachers of inclusive classrooms participated in the survey came from 400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which had the experienced inclusion teachers as well as more than 4-year-old history with special classrooms.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 all the items were polished through the practice of the fundamental statistics analysis such as internal consistenc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echnique was used to develop and adapt the measurement model in order to test its valid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개념모형 및 측정도구 개발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경숙(Kang Kyung Sook),송준만(Song Joonman). (2007).일반초등학교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 촉진을 위한 관련변인 간 관계 모형개발 및 검증 - 통합학급 담당 일반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41 (4), 107-132

MLA

강경숙(Kang Kyung Sook),송준만(Song Joonman). "일반초등학교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 촉진을 위한 관련변인 간 관계 모형개발 및 검증 - 통합학급 담당 일반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41.4(2007): 107-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