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실행 분석 - 특수학교의 ‘통합교육’을 향한 시도

이용수 688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implementation of link programs between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in Korea: Special schools" "inclusive education" attempt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박승희(Seunghee Park)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1권 제4호, 55~8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0
4,3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분리교육 환경인 특수학교의 통합을 향한 노력의 맥락에서 시작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전국 실태를 조사하여 현재 초보적 시행에 있는 연계 프로그램의 쟁점들을 판별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국내에서의 첫 번째 전국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계획, 개발, 실행, 평가, 및 지원 전반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여, 이 연계 프로그램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개발과 실행에서의 쟁점들을 판별하여 종합하고,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위한 제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1차적으로 조사하고 그의 대상학교인 일반학교를 대상으로 2차적으로 조사하여, 양 학교간의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구체적 자료 및 양 학교의 관점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한 학교들은 전국적으로 특수학교가 66개교, 일반학교가 47개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첫째, 연계 프로그램 실시의 기본정보; 둘째, 연계 프로그램의 계획과 개발; 셋째, 연계 프로그램의 실행; 넷째, 연계 프로그램의 평가와 지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의 다양한 측면에서 양 학교가 다른 관점을 보였으나, 연계 프로그램의 향상과 활성화를 위한 최우선 과제의 지적은 공유된 시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일반학교의 통합교육 내실화에 주로 정책적 배려 및 연구적 관심이 집중된 한국적 특수교육 상황에서 특수학교의 통합을 향한 연계 프로그램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초보적 시행의 묘사적 자료들을 처음으로 제공하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활성화 지원책과 미래 발전 방향성을 탐색하였다는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영문 초록

  Due to an ongoing emphasis on inclusive education in South Korea, special schools that carry out separate special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started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link programs between themselves and ordinary schools. These link programs have gradually increased in number since year 2000. This study attempted firs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nationwide link programs between special schools and ordinary schools by using national survey. For elemenary students, 66 special schools and 47 general schools were engaging in link program with various inclusive activities and special events. The concrete and descriptive information on link programs included: (1) basic information on link programs(program name, frequency of programs etc.); (2) planning and development of link programs; (3) implementation of link program; (4) evaluation and supports for link programs. The highest priority task indicated by both schools for improving and expanding the present link programs was to figure out the most meaningful and beneficial content for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 nature of link programs between special schools and ordinary schools was to provide inclusive education opportunities for especiall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parate special schools. Some suggestions for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xpanding a quality link programs between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were provided in educational policy making and future research agenda in terms of promoting inclusive education in South Kore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승희(Seunghee Park). (2007).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실행 분석 - 특수학교의 ‘통합교육’을 향한 시도. 특수교육학연구, 41 (4), 55-87

MLA

박승희(Seunghee Park).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실행 분석 - 특수학교의 ‘통합교육’을 향한 시도." 특수교육학연구, 41.4(2007): 55-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