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초학력부진아 지원체계 평가척도 타당화

이용수 205

영문명
A Validation Study on the Support System Scale for Children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박현숙(Park Hyun-Sook)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1권 제4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30
2,9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초학력부진아들에게 제공하는 보충지도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지원체계가 갖추어야 할 요소들을 추출하여 이를 근거로 지원 프로그램의 질적수준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기초학력부진아 지원체계」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전 질적연구에서 심층 면담을 통해 드러난 요인들을 기초로 총 66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한 후, 상설 보충지도반을 운영하는 서울시 초등 129개교에 재직 중인 총 440명의 일반교사, 특수교사, 보충지도반 강사를 대상으로 현장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7개 요인으로부터 13개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고, 추출과정에서 13개 문항이 제거되어 최종 척도는 총 53개 측정치로 구성되었다. 문항 제거 후, 본 척도의 내적일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토한 결과 본 연구의 가설 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기초학력부진아 지원체계」 평가척도는 기초학력이 부진한 아동들에게 제공되는 지원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떤 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는지 그 우선시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적절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결과로부터, 본 연구가 갖는 의의,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of the Support System for Children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which can be used at schools with supplementary programs.
  For this purpose, the scale was developed with items from the results of a previously conducted qualitative study. The complete form of the scale was given to a total of 440 elementary school teachers(173 regular classroom, 169 special classroom, & 98 supplementary program) in order to confirm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useful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3 items were excluded from the scale and the final scale ended up with 7 factors, 13 sub-factors, and 53 items with high reliability.
  Secon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cale appeared to have appropriate construct validity ensuring acceptable psychometric propertie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newly developed scale could be usefully utilized to evaluate overall quality of the program for children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explore ways towards better outcomes, and develop educational policies more effective support system.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숙(Park Hyun-Sook). (2007).기초학력부진아 지원체계 평가척도 타당화. 특수교육학연구, 41 (4), 1-19

MLA

박현숙(Park Hyun-Sook). "기초학력부진아 지원체계 평가척도 타당화." 특수교육학연구, 41.4(2007):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