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구조조정 정책의 제약요인에 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접근
이용수 680
- 영문명
- An Approach to Constraint Factors of a Korean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in the light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조흥순(Cho Heung-Soon)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25輯, 165~19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7.0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제도를 역사적 맥락의 산물로 보는 역사적 신제도주의 이론을 분석틀로 삼아 우리나라 대학 구조조정 정책의 제약요인을, 정책의 역사적 맥락과 구조-제도-행위자의 계층화된 맥락 속에서 분석했다. 역사적 맥락에서 ‘정부 중심 정책사고’와 ‘대학의 팽창신화’를 제도요소로 분석했고, ‘정부 중심 정책사고’는, 거시적 구조 차원에서는 ‘권위적 정치체제’와 ‘교육의 공공성’을, 행위자 차원에서는 ‘행정 관료의 선민의식’, ‘정부의 대학불신’, ‘위정자의 정치적 의도’, ‘경제성장과 발전교육론’, ‘사회의 대학개혁 요구’, ‘정부의 대학통제 수단’, ‘국제적 추세’의 요인과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대학의 팽창 신화’는, 거시적 구조 차원에서는, ‘자본주의 시장경제(대학의 사유성)’와 ‘대학의 자율성’을, 행위자 차원에서는 ‘학생 수요 증가’, ‘학벌주의 교육관’, ‘대학의 기업성’, ‘대학의 재정 영세성’, ‘외형중시와 연고의식’, ‘구성원의 이해관계’ 등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제약요인들은 정책의 지지 또는 억제 요인이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대학 구조개혁 방안’의 실효성 수준은 이러한 요인들의 함수관계로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그 실행 수준을 높이려면, ‘정부 중심 정책사고’의 지지요인을 강화하는 한편 ‘대학의 팽창 신화’의 지지요인을 약화 또는 해소시켜 주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traint factors of a Korean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in historical context of policies and stratified context of structure-system-transactor(performer). With this in mind, as a analysis tool the theory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s applied to this paper. In historical context, "a government-centered policy thought" and "the expansion myth of Korean universities" are analyzed as institutional factors: the former is continuous with "the masterful political system" and "the education as a public sector" on a comprehensive level, and is connected with such factors as "the elitism of officialdom," "the government"s distrust of universities," "the political intention of statesmen," the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al educationalism," "the social demand for university reform," "the government"s measures for university constraint," and "the international trend" on a transactor level. The latter is analyzed with "the market economy of capitalism(the private proprietorship of university)" and "the autonomy of university" on a comprehensive level, and with "the increase of students" demand,", academical cliquism(sectarianism)," "the commercialization of universities," "the paltriness of university finances," "the focus on external forms and the relation consciousness of universities," "the stake of constituent members(the interested parties)" on a transactor level. These constraint factors have influence upon supporting or restraining policies. The success or failure of effectiveness of now-propelling "the universities" structure-reform program" will be determined by the functional relation of these factors. Accordingly, if you want to enhance its execution level, we must enforce the supporting factor of "a government-centered policy thought" on the one hand and enfeeble or solve the supporting one of "the expansion myth of Korean universities" on the other han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분석틀
Ⅲ. 대학 구조조정 정책의 변화
Ⅳ. 대학 구조조정 정책의 제도적 맥락
Ⅴ.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의 분석틀
Ⅲ. 대학 구조조정 정책의 변화
Ⅳ. 대학 구조조정 정책의 제도적 맥락
Ⅴ.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청소년 교육의 역사적 조망
-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사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 제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인물’을 중심으로
- 『대학(大學)』 ‘삼강령(三綱領)’을 통해 본 교육의 원리
- 대학 구조조정 정책의 제약요인에 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접근
- 학생의 삶을 존중하는 교사의 교육철학 : 일 제안
-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전환(Ⅳ) - 국가교육과정기준의 변화와 질 관리 ‘방식’을 중심으로
- 뉴질랜드 교육개혁의 추진과정과 한국 교육개혁에 주는 시사점
-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 『敎育問題硏究』 논문 투고 요령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