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뉴질랜드 교육개혁의 추진과정과 한국 교육개혁에 주는 시사점
이용수 566
- 영문명
- The Process of “Tomorrow"s Schools” Reform in New Zealand and It"s Suggestions to the Korean Educational Reform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박의수(Park Eui-Soo)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25輯, 75~9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7.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뉴질랜드는 1989년 이른바“내일의 학교(Tomorrow"s Schools)”라는 이름의 획기적이고 “대담한”교육개혁을 단행했다. 영국식 교육제도를 근간으로 하여 120여 년 동안 비교적 안정된 체제를 유지해 오던 뉴질랜드의 교육개혁은 국제적으로도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논문은 뉴질랜드 교육개혁의 기본 방향과 뉴질랜드 교육개혁 과정을 고찰하고 개혁의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문제점과 그 문제들을 어떻게 대응하고 극복했는가를 연구하고, 한국 교육개혁에 주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뉴질랜드 교육개혁은 강력한 중앙집권적 행정 체제를 학교 단위의 자치기구인 학교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개편함으로써 학교와 지역사회가 주체가 되는 경쟁체제를 도입하는 것이었다. 뉴질랜드의 경험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개혁 추진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들을 민주적 절차와 일관성 있는 정책추진을 통하여 극복했다는 것이다. 또한 그 이면에는 투명성을 바탕으로 하는 사회적 신뢰가 뒷받침 되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이 논문은 뉴질랜드 교육개혁의 기본 방향과 뉴질랜드 교육개혁 과정을 고찰하고 개혁의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문제점과 그 문제들을 어떻게 대응하고 극복했는가를 연구하고, 한국 교육개혁에 주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뉴질랜드 교육개혁은 강력한 중앙집권적 행정 체제를 학교 단위의 자치기구인 학교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개편함으로써 학교와 지역사회가 주체가 되는 경쟁체제를 도입하는 것이었다. 뉴질랜드의 경험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개혁 추진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들을 민주적 절차와 일관성 있는 정책추진을 통하여 극복했다는 것이다. 또한 그 이면에는 투명성을 바탕으로 하는 사회적 신뢰가 뒷받침 되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process of educational reform named “Tomorrow"s Schools” in New Zealand and to get lessons from New Zealand"s experiences. For the purpose to be fulfilled, it was the first to research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the basic principles of the educational reforms of New Zealand. Next it was studied how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ocess of Tomorrow"s Schools reforms in New Zealand and presented some lessons from New Zealand"s experiences.
New Zealand adopted a school reform that overnight transferred operating responsibilit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o each school"s newly elected governing board of trustees. And New Zealand gave parents the right to choose which school their child would attend, and encouraged the development of a competitive culture in the state education system. The reason why New Zealand overcame many difficult problems in the course of educational reform is to keep the consistency of principles of reform policies though the ruling party was changed. Another reason not to be overlooked is the transparency of the whole society of New Zealand. So it could be said that the main points of lessons New Zealand gives to Korea are the consistency of policy and the transparency of society.
New Zealand adopted a school reform that overnight transferred operating responsibilit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o each school"s newly elected governing board of trustees. And New Zealand gave parents the right to choose which school their child would attend, and encouraged the development of a competitive culture in the state education system. The reason why New Zealand overcame many difficult problems in the course of educational reform is to keep the consistency of principles of reform policies though the ruling party was changed. Another reason not to be overlooked is the transparency of the whole society of New Zealand. So it could be said that the main points of lessons New Zealand gives to Korea are the consistency of policy and the transparency of socie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역사적 배경 및 교육제도
Ⅲ. 개혁의 기본 원칙
Ⅳ. 개혁의 추진 과정
Ⅴ. 개혁에 대한 평가
Ⅵ. 결론: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역사적 배경 및 교육제도
Ⅲ. 개혁의 기본 원칙
Ⅳ. 개혁의 추진 과정
Ⅴ. 개혁에 대한 평가
Ⅵ. 결론: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청소년 교육의 역사적 조망
-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사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 제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인물’을 중심으로
- 『대학(大學)』 ‘삼강령(三綱領)’을 통해 본 교육의 원리
- 대학 구조조정 정책의 제약요인에 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접근
- 학생의 삶을 존중하는 교사의 교육철학 : 일 제안
-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전환(Ⅳ) - 국가교육과정기준의 변화와 질 관리 ‘방식’을 중심으로
- 뉴질랜드 교육개혁의 추진과정과 한국 교육개혁에 주는 시사점
-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 『敎育問題硏究』 논문 투고 요령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