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사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 제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인물’을 중심으로

이용수 333

영문명
The study on the character in the literature textbook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이승준(Lee Seung-june)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25輯, 123~14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7.0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에 실려 있는 서사이론 중 ‘인물’에 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개선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인물에 대한 설명은 전체적으로 성격의 의미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것은 인물의 일반적 의미, 인물의 유형, 인물 제시 방법 그리고 학습 활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물의 일반적 의미나 인물 제시 방법은 큰 문제가 없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인물의 유형에 대한 설명 부분이다. 주요 인물과 부차적 인물은, 서사물에서 인물이 차지하는 비중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용어이다. 주동 인물이나 반동 인물은 모두 서사의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모두 주요 인물에 해당된다. 평면적 인물과 입체적 인물은 성격 변화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없다. 그것은 선택과 배제의 관계가 아니라 좌표적 관계에 놓여 있는 개념이다. 그것은 성격의 단일성과 복합성의 문제이다. 전형적 인물과 개성적 인물에 대한 구분은 편의적 구분으로 보아야 한다. 양자의 관계는 상호 독립적이다.
  인물론은 인물과 사건, 인물과 구성, 인물과 구조, 인물과 배경(혹은 환경), 인물과 주제 구현의 문제 등을 고려하여 보다 통합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제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written to study on the study on the character in the literature textbooks of the seventh educational process.
  The theory about the character focus on the sense of the character in the literature textbook of the seventh educational process. This is composed with the general sense, the pattern, the expressional method and the practical question. Ultimately the learning should help the student to appreciate the works. But these textbooks have many problem to make the student confused.
  The pattern has the most serious problem. The flat character and the round character cannot classify on the change of character. The flat character has a only one persona, but the round character has very many personas. The relations of both are not exclusive but of the polar. And typical character and individual character are the expedient classification. The relations of both are independent.
  The theory about the character should get beyond the subject of the character itself. It should become the theory about relations of the character and the plot, the character and the background, the character and subject etc.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인물’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Ⅲ. 요약 및 개선 방향
Ⅳ. 결론
참고 문헌
부록 : 18종 문학교과서의 ‘인물’에 대한 설명 비교대조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준(Lee Seung-june). (2006).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사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 제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인물’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5 , 123-140

MLA

이승준(Lee Seung-june).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사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 제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인물’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5.(2006): 123-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