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청소년 교육의 역사적 조망

이용수 178

영문명
The historical prospect of the adolescent education in china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이경자(Lee Kyung-Ja)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25輯, 51~7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7.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대 및 현대 중국의 청소년 교육을 검토함으로써 이를 통해 향후 중국의 청소년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고대 중국의 청소년 교육은 무엇보다도 도덕교육을 중시하고, 교육계층이 주로 귀족 남자청소년에 제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청소년의 학교교육은 정부관료에 의해 주도되었다. 과거제도가 탄생한 수대(隋代)부터 청소년 교육의 대상이 확대되고 과거에 급제하는 것이 청소년 교육의 주축이 되었다. 따라서 과거제도가 폐지되기까지 고대 청소년 교육의 목적은 주로 관리양성에 있었고 교육의 내용은 과거시험 과목인 유가경전이었다. 반면에 현대 청소년 교육은 교육대상이 상당히 대중화되고, 사회주의 체제에 따른 교육이 이루어졌다. 또한 교육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국제간의 활발한 교류로 다양한 학습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과거와 현재라는 시대구분을 떠나 청소년들의 품성배양을 위한 노력은 오늘도 중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청소년 교육의 흐름을 통해 중국 청소년 교육을 전망해 볼 수 있었다. 이는 향후 한ㆍ중 청소년 교육교류의 방향 제시 및 중국 청소년 교육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 the adolescent education of ancient and modern China. And examine the modern situation of the adolescent education. The adolescent education of ancient China esteem seriously a moral education, The class which was educated was mainly restricted in the young noble man. And the government mainly led the school education of the young people. From the Sui Dynasty(隋代), passing of the state examination was center of adolescent educat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e ancient young people education train manager. The contents of education was studying the scripture of a Confucian scholar it is the state examination subject. The other side, the modern young people education very became masses. And the socialism education became accomplished. Also studying which is various with quality improvement and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education came to be possible. But the characteristic cultivation of the young people is still very important. It will be able to diagnosis a Chinese adolescent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At last, It will present a direction in the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 And, It will help to understand the Chinese adolescent education.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고대 중국의 청소년 교육
Ⅲ. 현대 중국의 청소년 교육
Ⅳ. 나가는 말: 중국 청소년 교육의 향후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자(Lee Kyung-Ja). (2006).중국 청소년 교육의 역사적 조망. 교육문제연구, 25 , 51-73

MLA

이경자(Lee Kyung-Ja). "중국 청소년 교육의 역사적 조망." 교육문제연구, 25.(2006): 5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