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전환(Ⅳ) - 국가교육과정기준의 변화와 질 관리 ‘방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1202
- 영문명
- Paradigm Shift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Ⅳ) : A Proposal for Change and Quality Control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홍후조(Hong Hoo-Jo)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25輯, 101~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7.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앙집권적 국가교육과정기준을 가진 나라에서는 그것이 전국의 교육 내용?활동?경험 제공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그것을 무엇으로 채우고 어떻게 만들 것인가가 매우 중요하다. 국가교육과정 기준은 그것이 담을 내용과 그 내용을 빚어내는 개정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이 글은 변화된 환경 속에서 현행 교육과정의 개정 방식을 다룬 것이다.
개정은 그 대상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 교과 및 교과외 교육과정, 개정 범위는 전면개정과 부분수정, 개정 방식은 동시개정과 순차개정으로 나뉜다. 이 글에서는 질 높은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해서 동시개정 방식을 폐기하고 순차개정 방식을 개발할 필요성에 주목하여, 그 개선 방안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 관련 법규 미비 해소를 통한 각 주체의 권한과 역할을 분명히 규정할 필요, 세계화시대의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역할 재정립, 교육과정 총론에 의한 교과 교육과정 종합 비교 장치(도구/단계) 도입 등을 논하였다. 이들 네 가지는 국가교육과정기준의 크고 작은 변화를 통한 질 개선을 함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긴요한 일들이다.
개정은 그 대상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 교과 및 교과외 교육과정, 개정 범위는 전면개정과 부분수정, 개정 방식은 동시개정과 순차개정으로 나뉜다. 이 글에서는 질 높은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해서 동시개정 방식을 폐기하고 순차개정 방식을 개발할 필요성에 주목하여, 그 개선 방안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 관련 법규 미비 해소를 통한 각 주체의 권한과 역할을 분명히 규정할 필요, 세계화시대의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역할 재정립, 교육과정 총론에 의한 교과 교육과정 종합 비교 장치(도구/단계) 도입 등을 논하였다. 이들 네 가지는 국가교육과정기준의 크고 작은 변화를 통한 질 개선을 함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긴요한 일들이다.
영문 초록
How to make a nation"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NCS) including its basic framework and content is very critical in the nation which has a centralized curriculum governance because it makes an every effect on educational objectives, textbook content, instruction,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student"s learning, and evaluation all over the whole country. Almost all educational contents, activities and experiences come from and are based on the NCS.
This paper deals with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NCS improvement under the changed circumstances such a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Korean NCS has overly regulated and controlled local and school curricula without leaving any room for their autonomy, however paid little attention on national and global educational problems and issues such as economic competitions among global markets, global understanding and transaction, cultural conflicts among civilizations, etc.
The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Korean NSC has heavily relied on the total and simultaneous revision of all elements and phases of the curriculum in every revision projects, which brought forth irrational framework, principles and guidelines. This paper discussed on the issues of legal regulations about curriculum revision and moderation and management of subject-matter curricula by the General Guidelines.
This paper deals with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NCS improvement under the changed circumstances such a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Korean NCS has overly regulated and controlled local and school curricula without leaving any room for their autonomy, however paid little attention on national and global educational problems and issues such as economic competitions among global markets, global understanding and transaction, cultural conflicts among civilizations, etc.
The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Korean NSC has heavily relied on the total and simultaneous revision of all elements and phases of the curriculum in every revision projects, which brought forth irrational framework, principles and guidelines. This paper discussed on the issues of legal regulations about curriculum revision and moderation and management of subject-matter curricula by the General Guidelin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국가교육과정기준의 변화와 질 관리 방식 개선
Ⅲ.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국가교육과정기준의 변화와 질 관리 방식 개선
Ⅲ.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청소년 교육의 역사적 조망
-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사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 제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인물’을 중심으로
- 『대학(大學)』 ‘삼강령(三綱領)’을 통해 본 교육의 원리
- 대학 구조조정 정책의 제약요인에 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접근
- 학생의 삶을 존중하는 교사의 교육철학 : 일 제안
-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전환(Ⅳ) - 국가교육과정기준의 변화와 질 관리 ‘방식’을 중심으로
- 뉴질랜드 교육개혁의 추진과정과 한국 교육개혁에 주는 시사점
-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 『敎育問題硏究』 논문 투고 요령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