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생의 삶을 존중하는 교사의 교육철학 : 일 제안

이용수 508

영문명
A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Teacher"s Activities for Respect of the Student"s Life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강승규(Ghang Seung-Ghyu)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25輯,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7.0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육을 보는 시각에 두 가지가 있는데, 그 하나는 형성주의(formalist)이고 또 다른 하나는 자연주의(naturalist)이다. 형성주의에서는 교사의 입장에서 교사가 특정한(specific) 교육목표와 특정한 교육방법과 프로그램으로 학생을 특정한 인물로 만들어 갈 수 있다는 입장에서 교사활동을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에, 자연주의에서는 학생의 입장에서 학생에게 숨어 있는 자질과 잠재력에 착안하여 이를 정상적으로 계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두 가지 입장이 교육활동에 조화를 이루어져야 하겠으나, 권위주의적인 통제방식이 지배했던 우리 사회는 전통적으로 형성주의적인 교육이 중심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탈권위주의를 표방하고 민주화와 지방분권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평적인 구조로 급변해 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형성주의보다는 자연주의적인 교육을 전개해 나갈 교사가 요청된다. 그리고 이는 인간의 본질적인 삶의 특성을 존중하는 교육이란 측면에서도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을 반영하고 인간의 삶의 기본적인 특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교육을 실행한다면, 교사에게 요청되는 특성으로는 학생의 삶을 존중하는 교육, 즉 어른의 취향과 기준에 맞추는 교육이 아니라 학생의 입장에 맞추는 교육을 진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학생이 학교의 삶을 즐겁게 느끼면서 공부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교육의 종국의 목표는 학생이 행복한 삶을 해갈 수 있도록 돕는 일이다. 이를 위해 헌신할 수 있는 교사가 요청되며 국가적 교육정책도 이러한 입장에서 수립되어 학교 현장이 교사와 학생이 주체가 되어 교육을 이끌어 나갈 수 있기 위한 학교 조건, 즉, 학교의 교육자활력이 갖추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ere are two perspectives in education: formalist and naturalist. From a formalist perspective, teachers shape their students into a specific people with specific objectives, methods and programs that are based on teacher"s standards. On the other hand, from a naturalist perspective, teachers focus on developing students" quality and potential on the basis of students" needs.
  Theoretically the two perspectives should be harmonized, but since our society(Korea) has been ruled by authoritarianism, we have stressed the formalist perspective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in the context of the recent transformation in Korea, which tends to become a more horizontal society, particularly from authoritarianism to democratization and localization, we need more naturalist teachers. Moreover, a naturalist perspective should be accentuated because of its essence of appreciating the true nature of human being.
  Teachers ought to respect students" lives to meet the request of the era and to educate people based on their true nature. In other words, teachers need to educate students based on their needs, not on grown-up"s needs and standards. It is important to have students learn in a good school condition.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have a happy life. Therefore, teachers who devote to students" needs are required, and national education policie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naturalist perspective in order to make a school environment where teachers and students are subjective. In other words, schools need to develop a capability of educational self-support.

목차

〈요약〉
Ⅰ. 문제 제기
Ⅱ. 인간의 삶
Ⅲ. 결론: 형성주의 교육관 위주의 교사활동 탈피 체제 구축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승규(Ghang Seung-Ghyu). (2006).학생의 삶을 존중하는 교사의 교육철학 : 일 제안. 교육문제연구, 25 , 1-25

MLA

강승규(Ghang Seung-Ghyu). "학생의 삶을 존중하는 교사의 교육철학 : 일 제안." 교육문제연구, 25.(2006):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