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曹學乳의 생애와 讚佛歌 연구

이용수 175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Modern Buddhist Music in Korea -Special Emphasis on Mr. Cho Hakyu"s Career and his Contribution to the Popularization of “Chanbulga”-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이미향(Lee Mi-hyang)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26輯, 383~424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8.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찬불가의 성립과 전개과정 및 음악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에 머물고 있다. 본 논문은 찬불가를 통한 불교포교운동을 전개한 승려 조학유의 생애와 그가 1926년부터 1927년에 걸쳐 불교잡지『佛敎』에 연재한 찬불가 24곡을 중심으로 찬불가의 성립과 전개과정을 규명하였다.
  찬불가의 성립에 있어서 결정적인 동인이 된 것은 1911년 일본의 사찰령에 의한 승려의 범패와 무용의 금지라고 할 수 있으며, 근대불교음악의 전개과정에 나타난 ‘창가’나 ‘불교창가’ 그리고 ‘찬불가’라고 불리던 외래음악 기법으로 된 음악의 수용은 불교개혁운동의 일환으로 추진된 불교의식의 근대화, 불교일요학교를 통한 포교, 그리고 각종 불교단체주관의 행사 및 강연회를 통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 조학유가『佛敎』에 연재한 찬불가 24곡을 분석한 결과, 24곡 중 미확인된 6곡을 제외한 16곡이 한국보다 앞서 근대불교 음악의 발전을 이룩한 일본의 찬불가, 혹은 일본 창가 그리고 일본군가에서 일부선율 또는 전체선율이 차용되었음을 밝혔으며 이것으로써 그동안 작곡자 미상으로 알려져 있던 조학유의『佛敎』연재 찬불가의 출처가 명확히 규명되었다. 이들 찬불가의 음악적 특성 또한 대부분의 곡들에서 근대 초기 일본 창가의 전형적인 특징인 2/4 또는 4/4박자로 된 16마디 두 도막 형식에「파」와「시」가 생략된 ‘요나누끼 장음계’의 특징이 나타나 조학유의 찬불가가 일본음악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음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e “Chanbulga”(Buddha Anthem) has been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foreign music since modern times in Korea. Although the history of “Chanbulga” is only about eighty years, i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erforming the current Buddhist ritual in the temples, and recently its role has become to increase. However, despites its importance, the study on establishment of “Chanbulga” or its development has not progressed sufficient enough. Especially, the study of analysis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Chanbulga” has remained in the beginning stage.
  Therefore, in this paper, I paid attention to the important roles played by reformist Buddhist monks who edited “Chanbulga” books. Among these reformist Buddhist monks, it is worth while to notice that Mr. Cho Hakyu has engaged in editing these “Chanbulga” books. In relation to his activity, I tried to describe his career backgroundand examine the establishment of “Chanbulga” in this period, and also point ou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Chanbulga” through the analysis of 24 “Chanbulga” appeared in the Journal “Buddhism” published between 1926 and 1927.
  Regarding themain drive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Chanbulga” in Korea, it will be important to point out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has banned the Buddhist monks’ dancing and “Pumpae” (chant in Buddhist ritual) singing in the temples under the colonization. Also, it will be important to realize that the introduction of foreign types of musical methods such as “Changga”(Song), “Bulgyo Changga”(Buddhist Song), “Chanbulga” etc. has depended on such influences as the modernization of Buddhist ritual, missions in the Sunday schools of temples, and various kinds of events and lectures promoted by Buddhist groups et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24 “Chanbulga” that Mr. Cho edited in the Journal “Buddhism”, I found several findings a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ongs in this period. Firstly, I found that among these, 16 songs except uncertain 6 songs have adopted the whole or parts of melody and rhythm of Japanese “Chanbulga “, “Ilbon Changga”, (Japanese Song)and “Gunga” (War Song) etc. Although the composers of these “Chanbulga” that Mr. Cho edited in 1920s were unknown for a long time, the sources of 16 “Chanbulga”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analysis.
  Secondly, a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Chanbulga”, I found that most of them have adopted the typical Japanese rhythm such as “musical scales except four and seven” consisting of 16 phrases based on two/four time or quadruple time represented by “Ilbon Changga” appeared in the early modern times of Japan. We need to highly evaluate Mr. Cho’s activity and his contribution to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t music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hanbulga” as a Buddhist monk in order to reform the modern Korean Buddhism.
  Despites his valuable contribution, it is regrettable that he could not overcome the difficulties to depend on the Japanese culture in those days conditions, though he realized the supremacy of “Pumpae”(Buddhist ritual music) based on a traditional Korean Buddhist music.

목차

국문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개항기 이후 불교계의 동향과 외래음악 수용
Ⅲ. 일본의 찬불가집 출판과 불교일요학교
Ⅳ. 조학유의 생애와 불교개혁운동
Ⅴ. 조학유『불교』연재 찬불가에 대한 분석
Ⅵ. 나오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향(Lee Mi-hyang). (2006).曹學乳의 생애와 讚佛歌 연구. 보조사상, 26 , 383-424

MLA

이미향(Lee Mi-hyang). "曹學乳의 생애와 讚佛歌 연구." 보조사상, 26.(2006): 383-4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