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효의 논리사상

이용수 898

영문명
元曉(Won-Hyo)"s Thought on Logic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김성철(Kim Sung-chul)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26輯, 283~31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8.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원효의 논리사상을 조망하기 위해 원효의 저술에서 인명학 관련 술어의 출현 빈도를 조사했는데 『중변분별론소』의 경우 그 전체가 온전히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 인명학의 영향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중변분별론소』는 원효가 현장의 인명학을 익히기 전에 저술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원효의 논리사상을 연구하는 가장 중요한 문헌은 『판비량론』이다. 본고 제Ⅱ장에서는 『판비량론』에서 현장에 대한 원효의 비판과 유식학 관련 논의 및 인명학 관련 논의들을 분석했다. 『판비량론』에서 원효는 인명학의 오류론을 도구로 삼아 현장이 고안했던 추론식, 또는 현장이 소개한 불전들에 실려 있는 추론들을 비판하기도 하고 그 스스로 추론식을 고안하여 제시하기도 한다. 혹자는 『판비량론』의 논리 사상을 칸트나 괴델의 그것과 유사하다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원효 스스로 추론식을 구성하여 제시한다는 점에서 『판비량론』의 원효는 이들과 입장이 상반된다.
  원효는 인명을 자주 이용하나 논리지상주의자였던 것은 아니었다. 『무량수경종요』의 경문을 해설하면서 부처의 네 가지 지혜[불지(佛智)]는 “추론적 사유에서 벗어난 것이기에 믿어야 한다.”고 설명하면서 원효는 이율배반적 논법인 특유의 화쟁적(和諍的) 논법을 사용한다. 『판비량론』의 원효는 인명학의 오류론에 입각하여 치밀한 논리를 구사하였다. 그러나 『무량수경종요』의 원효는 불지(佛智)에 대해서 화쟁의 논법으로 설명하고 믿음의 길을 얘기한다. 원효는 때론 논리를 사용하고 때론 논리를 넘어선다. ‘화쟁의 논법’과 ‘불지에 대한 믿음’은 모두 논리를 초월한 곳에 자리한다.

영문 초록

  1. The influence of Buddhist Logic on 元曉"s works
  We can find many logical terms in 元曉"s works. Some of them are derived from 如實論 or 俱舍釋論 that were translated by 眞諦(Param?rtha: 499~569C.E.) and some are from 因明入正理論 or 因明正理門論. The latter two were translated by 玄?(Xuan-Zang: 602~664C.E.). In 眞諦‘s translations we can find logical terms such as ‘道理’ or ‘相違’. But logical phrases as ‘由此道理 … 不相違’ and terms as ‘相違決定’, ‘不定過’, ‘證成’ etc. are found only in new translations of 玄?.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age of logical terms we can classify 元曉"s works as follows.
  ① The works in which 玄?’s Buddhist logic is applied actively
  判比量論, 十門和諍論, 二障義, 大乘起信論疏, 大乘起信論別記, 大慧度經宗要, 金剛三昧經論
  ② The works with a little influence of 玄?’s Buddhist logic 無量壽經宗要, 阿彌陀經疏, 遊心安樂道, 彌勒上生經宗要, 涅槃宗要, 法華宗要, 菩薩瓔珞本業經疏
  ③ The works with no influence of 玄?’s Buddhist logic 菩薩戒本持犯要記, 發心修行章, 大乘六情懺悔, 解深密經疏序, 中邊分別論疏, 華嚴經疏序
  2. 判比量論(Pan-Bi-Ryang-Ron) - A Treatise of Debates based on Buddhist Logic
  判比量論 is a book of debates and all the debates are based on Buddhist logic of 因明入正理論. Some scholars insisted that logical thought in 判比量論 can be compared with "G?del"s Incompleteness Theorem’ or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But I think it to be misunderstanding. Kant or G?del"s philosophy is against logic. But 判比量論 is a logical treatise. In 判比量論, 元曉 criticizes many syllogisms that were designed by 玄? or found in 玄?‘s translations. 元曉"s criticisms are based on the logical fallacies described in 因明入正理論.
  Moreover we can find 元曉 himself constructed several syllogisms that seem to be free from logical fallacies. For example a syllogism that proves the existence of the 8th Vij??na(Chapter9) or a syllogism that proves the 5th hetu in Dign?ga"s ‘9 kinds of hetus(九句因)’ to be a kind of ‘anaik?ntika hetu(不定因)’(Chapter11) or a syllogism that proves each hetus that is used in opposite syllogisms of "viruddh?vyabhic?r?(相違決定)" to be anaik?ntika hetu(Chapter12).
  So we can say that 元曉 of 判比量論 is not a man of harmonization but a vigorous controversialist.
  3. A Realm that transcends Logic - 和諍(Hwa-Jaeng) and Faith(仰信)
  In the last part of 無量壽經宗要, 元曉 discussed about a realm that transcends our logical thought. That is a realm of the Wisdoms of Budddha.
  Wisdoms of Budddha are of 4 kinds. In 無量壽經 each is called "Inconceivable Wisdom(不思議智)", "Unnameable Wisdom(不可稱智)", "Immense Wisdom of Mahayana(大乘廣智)" and "Uncomparable Victorious Wisdom(無等無倫最上勝智)". 元曉 compared these Wisdoms with 4 Wisdoms described in 成唯識論. The first is equal to "the Wisdom of accomplishing what is to be done(成所作智)", the second is equal to "the compassionate Wisdom of observing the ultimate equality of all beings(平等性智)", the third is "the Wisdom of accurate and wondrous observing(妙觀察智)" and the fourth is "the Wisdom of immense round mirror(大圓鏡智)".
  元曉 presented antinomie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finitions of each Wisdom of Budddha. For example, the antinomy of Uncomparable Victorious Wisdom is as follows; "If this Wisdom of Buddha is gotten immediately without practice, every Sattva should have Buddha"s Wisdom, because both are not different in that they have not practiced. ↔ If this Wisdom of Buddha is gotten gradually with practice, it is not right, because Buddha"s wisdom is infinite and infiniteness cannot be consumed."
  元曉 solved th

목차

국문 초록
Ⅰ. 원효의 저술과 인명학의 관계
Ⅱ. 인명학에 근거한 논쟁서 - 『판비량론』
Ⅲ. 인명학의 활용과 인명학의 초월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철(Kim Sung-chul). (2006).원효의 논리사상. 보조사상, 26 , 283-319

MLA

김성철(Kim Sung-chul). "원효의 논리사상." 보조사상, 26.(2006): 283-3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