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杜順과 『法界觀門』에 대한 小考

이용수 154

영문명
The Study of Du-shun(杜順) and The Fa-jie-guan-men(法界觀門)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張戒環(Chang Ke-hwan)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26輯, 255~28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두순의 사상적 입장을 전하고 있는 문헌은 아주 적다. 현재 유일한 저작이라고 대체로 인정하고 있는 『법계관문』도 실은 眞撰에 대하여 異說이 분분한 실정이다.
  『법계관문』의 진찬문제에 대해서는 ‘杜順 撰’이라고 기록한 최초의 목록인 圓仁의 『入唐新求聖敎目錄』을 비롯하여 『圓超錄』과 『永超錄』 그리고 『義天錄』의 기록으로 미루어보아 9세기 초기에는 본서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고, 게다가 일본에 전래되었다는 점으로 미루어 9세기 중엽까지는 杜順撰으로 남아있었을 것이다.
  설사 『법계관문』을 ‘杜順 撰’으로 보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이 문제가 그대로 그를 화엄종 初祖로 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1차 자료인 『唐高僧傳』에서 두순이 定業과 神異에 뛰어날 뿐만 아니라, 敎祖的 자질을 갖추고 있음을 보증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그의 제자에 화엄종 제2조인 智儼이 명기되어 있는 점에서 한층 더 그러하다 하겠다.
  그리고 두순의 행적에서 그가 제자인 樊玄智에게 권했던 普賢行은 바로 그 자신의 실천행이였다. 그러므로 『당고승전』의 ‘受持定業’이라는 定業의 내용도 다름 아닌 보현행이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두순의 종교적 실천생활이 보현행이었다면 그 보현행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다시 말해 두순의 보현행이란, 근본적으로는 불타의 本願으로 일관된 실천이다. 즉 절대적으로 보편적이며 또한 어디까지나 주체적 세계로써 실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두순의 『법계관문』이 화엄교학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澄觀 때에 와서야 새로운 평가가 부여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f we are looking carefully at the definition of studies on Hua-yen, which is said that it is an huge system based on Huayan jing(華嚴經) of which is the basis of Hua-yen thought(華嚴思想), and also based on Ancestor of Hua-yen sect. So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Ancestor of Hua-yen sect(華嚴宗)
  In this meaning I tried to examining the Du-shun(杜順) as a first Ancestors. But there were only few texts reminded to introduce his thought. The Fa-jie-guan-men(法界觀門), of which considered as his solitarly text. But currently some scholars are doubt on Du-shun(杜順)"s authority.
  Since it is so, it is difficult to clear up statue of his thought by examining some subsist texts in positively way. As the one who has many writings is not always the good thinker,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ness as a religious man of Du-shun(杜順) and the fact of non-existing writings.
  In this way, this treatise firstly examines the Du-shun(杜順) as a first Ancestors of Hua-yen sect(華嚴初祖), and then it examines him as a Samantabhadra actor(普賢行者), of whom practices the acts of Samantabhadra. And examining the genuineness of The Fa-jie-guan-men(法界觀門), which is written experience of his religious practice, to indicate his a point of view on dicipline.
  It is to say, his a point of view on dicipline is basically practice of the Buddha"s original vow So it is absolutely universally and also it is materialized as a independent world. Frankly speaking, the importanceness of Du-shun(杜順)"s Fa-jieguan-men(法界觀門) in teachings of Hua-yen were given an new appraisal bi the period of Cheng-guan(澄觀).

목차

국문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初祖로서의 杜順
Ⅲ. 普賢行者로서의 杜順
Ⅳ. 『법계관문』의 眞撰 문제
Ⅴ.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張戒環(Chang Ke-hwan). (2006).杜順과 『法界觀門』에 대한 小考. 보조사상, 26 , 255-282

MLA

張戒環(Chang Ke-hwan). "杜順과 『法界觀門』에 대한 小考." 보조사상, 26.(2006): 255-2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