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려 후기 지식인의 아내 이야기 - 무신집권기부터 원 간섭기까지
이용수 341
- 영문명
- The story to highbrow"s wife of the latter period of Koryo(高麗)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김승룡(Kim Seung-ryong)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20집, 111~14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1.0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흔히 고려 후기는 신흥사대부(新興士大夫)의 성장과 맞물려 설명된다. 이들의 사회적 책임과 개혁, 경세의식(經世意識)과 우환의식(憂患意識), 그리고 정치적 성장에 초점이 맞춰지고, 사상적 실천에 주목하기 십상이 다. 또한 그것은 이들의 사회적 토대가 비귀족적(非貴族的)이라는 점에서 출발한다. 과연 그럴까? 본고는 고려 후기 지식인, 곧 신흥사대부의 세족적(世族的) 성격을 확인하기 위해 ‘아내 이야기’를 주목했다.
고려 후기, 특히 무신집권기(武臣執權期)와 원 간섭기(元干涉期)에 한정할 경우, ‘아내’는 말없는 가난한 아내, 헌신의 ‘어머니’를 거쳐 가문(家門) 안에 재배치된다. 특히 아내는 ‘가문’ 속에 공식적으로 ‘배치되면서’, 아내의 실존 자체와는 상관없이 ‘가문 속의 아름다운 사람’으로 변했다. 실재와는 상관없이 신성한 존재로 변한 것이다. 고려 후기 ‘아내’는 지식인의 세족적 욕망에 의해 ‘재구성’된 것이다.
이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추론할 수 있다. 당시 고려 지식인은 더 이상 지방중소지주(地方中小地主) 출신의 비귀족은 아니었다. 이미 중앙귀족화(中央貴族化)한 세족(世族)을 꿈꾸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여말선초(麗末鮮初) 지식인을 거론할 때, 더 이상 세족과 비교되는 사대부로서의 ‘상상(想像)의 건전성’에 집착해서는 안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latter period of Koryo is explained and went in gear with growth of the rising gentry generally. The study is focused on their social charge and revolution, consciousness of administration, consciousness of trouble and political growth or is noticed with their ideological practice very well. And then it is started with point that their social base is anti-aristocratic. Is it true? This study has focused on ‘wife story’ in order to check the powerful character of rising gentry, the highbrow in the latter period of Koryo.
In the latter period of Koryo, especially it is concerned with period in military power and Yuan power, ‘wife’ is relocated in family taken over the silent wife and self-sacrificing mother. The wife, especially, is changed as ‘beautiful person in family’ regardless of wife"s existence of its own while it is ‘located’ in ‘family’ formally. It is changed as holy existence regardless of actual being. The ‘wife’ in the latter period of Koryo is ‘recomposed’ by ambition to power of highbrow.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ratiocinated with these. In those days, the highbrow of Koryo was not anti-aristocratic who comes from landowner of small and medium local area any more. They had dreamed on powerful aristocratic family centralized before. If so, when we take the highbrow at the end of Koryo and the beginning of Chosun up, we should not adhere to ‘healthiness of imagination’ that the gentry is compared with powerful family any more.
목차
국문초록
Ⅰ. 가족(아내)을 마주한 변명
Ⅱ. 논의의 전제: 딸/아들, 젠더화
Ⅲ. 무신집권기: 말없는 가난한 아내
Ⅳ.원 간섭기: 헌신의 어머니, 그리고 재배치
Ⅴ. 또 다른 시작을 위해
참고문헌
〈Abstract〉
Ⅰ. 가족(아내)을 마주한 변명
Ⅱ. 논의의 전제: 딸/아들, 젠더화
Ⅲ. 무신집권기: 말없는 가난한 아내
Ⅳ.원 간섭기: 헌신의 어머니, 그리고 재배치
Ⅴ. 또 다른 시작을 위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楓石 徐有榘의 散文에 대하여
- 디지털시대 한문고전번역의 역할
- 한문고전의 활용―대중화의 전제 조건 - 떠나보내야 할 과거와 취해야 할 길
- 고전은 어떻게 ‘실용화’되는가? - 영어권의 경우를 중심으로
- 金錫冑의 『古文百選』 편찬과 唐宋派의 수용
- 朝鮮中期 文章家들의 陽明學 受容의 樣相과 意味
- 「詩序」와 朱熹의 시 의식
- 원전연구와 고전 텍스트의 현대적 변용
- 「보다」 동사 ‘觀ㆍ視ㆍ察’의 의미자질 연구(Ⅰ)
- 고려 후기 지식인의 아내 이야기 - 무신집권기부터 원 간섭기까지
- 나말여초 전기문학의 환상성과 문학적 형상화 - 「首揷石枏」과 「寶開」를 중심으로
- 동양한문학회 회칙 외
- 中韩“烈不烈女” 传说比较研究
- 申維翰 산문의 擬古性과 『莊子』 패러디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