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출판물과 출판물을 원작으로 하는 영상물의 매체 특성 비교 연구

이용수 368

영문명
Study on the specific character of medium between publication and visual image
발행기관
한국출판학회
저자명
황민선(Hwang Min-Sun)
간행물 정보
『한국출판학연구』통권 제48호, 371~39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0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문자매체는 인간의 사고와 문화를 압도적으로 지배하는 매체였다. 또한 문자매체가 지배적인 문화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출판이었다.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의 혁신에 바탕을 둔 디지털 문화는 생활 형태와 생산방식, 교육 방법 등 전 분야에 걸쳐 연쇄적이고 근원적인 변화를 불러왔으며 문화의 영역도 예외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문화에 있어 영상미디어가 주요 매체로 자리 잡게 된다. 현대의 디지털 문화에서는 미디어간의 경계선이 무너지고 개별 미디어의 독자성과 독립성이 약화되는 동시에, 또한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콘텐츠와 서비스가 통합되는 융합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미디어의 경계가 무너지고 점점 융합하는 상황 속에서 출판물을 원작으로 하는 영상물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영상매체가 주도하는 이미지 문명이 현대 사회의 거대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음을 부정할수 없다면, 출판물과 출판물을 원작으로 하는 영상물에 대한 비교 연구는 분명 긴급하고 중요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출판물과 영상물이 근본적으로 서로 어떻게 다른지 그 특성을 밝혀 보았다. 출판물과 영상물은 우선, 서사성을 공유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에 출판물은 문자로, 영상물은 영상으로 서사를 묘사한다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제시해 볼 수 있다. 기호의 사용에 있어 영상물은 도상적 기호(iconic sign)를, 출판물은 상징적 기호를 더 용이하게 사용한다. 다시 말해서 영화의 상은 감각적ㆍ현실적인 상이며, 이와 달리 소설의 상은 관념적 심상이라 하겠다. 감상 형식에 있어서 독자의 역할을 살펴보면, 자유로운 재창조의 과정을 갖는 출판물의 독자와 달리 영상물의 관객은 피상적이고 수동적이라 할 수 있다. 매체적 속성에 있어 출판물을 원작으로 하는 영상물은 출판물에 비해 더 대중적이다. 영상물은 다수 익명의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그들의 정서와 성향, 즉 대중성을 의식해야 하고 또한 의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성향이 대중성으로 표방된다고 할 수 있다. 나타내고 있는 시제에 대해 살펴보면, 소설과 같은 출판물의 경우, 과거ㆍ현재ㆍ미래라는 세 가지 시제를 지니고 있지만 영화와 같은 영상물은 단지 현재라는 하나의 시제만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출판물의 영역 중 인터넷 소설이 주로 영상화되는 주요인은 영상화하기에 쉬운 에피소드 위주의 내용 구성 즉 시각화하기 쉬운 구성, 대중성의 확보라는 차원에서 이해된다. 결국 출판물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영상물이 가지는 특성의 일부분을 인터넷 소설이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pecific character of medium between publication and visual image. Visual images as a kind of narrative art has similarity to publication. Visual images gets its materials from vivid reality of human life, reflects them, and recognizes them. However, these similar modes that ascertain the interchangeableness between publication and visual images don't explain the possibility of replacement of these two genres. It's because they the same mode as narrative art, but means for expression, namely, their languages are different. Publication deponds on written language which is an abstract sign, on the other hand, visual image is made up of visual language which is an iconic sign. Publication using the written language is based on logical thinking, and has reasonable characteristics. While visual imageusing visual language that can be possible to personally confirm what is on the screen, has a sensuous medium, indeed. The differences of these two language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two media are more definitely revealed by comparative analysis about creative aspect and acceptable one. On the part of acceptance, publication and visual image have their own different ways. Visual image proposes rather a completed form, for audience in order to confirm in person. On the other hand, publication provides for readers with some a letter or vocabulary. Accordingly, readers should input numerous abstract signs into their brains, shape some kinds of form, and reshape them by connecting these signs, to accept novel. The fundamental differences as narrative art between these two genres are generated from the different narrators. A narrator in a publication that carries a narrative is a speaker, but a narrator in a visual image is a camera.

목차

초록
Ⅰ. 들어가는 글
Ⅱ. 소설 출판물의 영상적 수용의 종류
Ⅲ. 출판물과 영상물의 매체 특성 비교
Ⅳ. 인터넷 소설이 지닌 영상적 요소
Ⅴ. 마치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민선(Hwang Min-Sun). (2005).출판물과 출판물을 원작으로 하는 영상물의 매체 특성 비교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 371-392

MLA

황민선(Hwang Min-Sun). "출판물과 출판물을 원작으로 하는 영상물의 매체 특성 비교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2005): 371-3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