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서력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독서 지도 유무에 따른 독서력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428

영문명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ading Ability Test : Focusing on difference of reading ability attendant upon the presence of reading guidance
발행기관
한국출판학회
저자명
김기태(Kim Ki-Tae)
간행물 정보
『한국출판학연구』통권 제48호, 49~7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0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생들의 독서 능력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진단 평가 도구, 즉 독서력 측정 도구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된다는 문제 의식 아래 그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독서 과정에 대한 이론적 성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둘째, 독서 교육에 의한 독서 흥미와 습관의 변화 추이는 어떠한가? 셋째, 독서 교육에 의한 독서 능력의 변화 추이는 어떠한가? 이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우선 2개 고등학교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1학년과 2학년 전체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설문조사와 일정 문제지를 통한 독서력 측정을 실시 하였다. 1차 설문조사 및 독서력 측정은 모두 같은 조건에서 실시하였으나 이후 연구반을 선정하여 독서 교육을 실시하였고, 6개월 후에 실시한 2차 설문조사 및 독서력 측정에서는 독서 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한 학급과 그렇지 않은 학급에 있어서의 변화 추이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동기화되었을 때 더욱 향상된 독해력으로 책을 읽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독서 자료에서 느끼는 흥미는 학생들의 독서를 더욱 동기화시켜 주고, 독서력 수준이 동일할 때조차 학생들은 흥미 없는 자료에서보다 흥미 있는 자료에서 더 높은 독해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 같은 독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개인적 요소는 분석적 사고, 논리적 사고, 비판적 사고, 종합적 사고 등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독서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와 습관뿐만 아니라 독해력은 단기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의 독서 경험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 이번 연구에서도 증명되었다. 아울러 학생들로 하여금 독서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유인책을 마련해 나가야 하며, 여러 분야의 글을 골고루 읽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양질의 독서 자료를 중심으로 독서에 대한 나름대로의 계획을 세워서 독서를 하도록 지도해 나가야 한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또, 독서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단연 스키마(schema)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판단력, 문제해결력, 추리력, 창의력, 상상력 등을 포괄하는 독서감상력은 독자들의 독해력과 더불어 전반적인 독서력을 측정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different ways of testing the reading ability of students, as it's imperative to make an objective, diagnostic evaluation of their reading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 sorts of theoretical achievements are there in association with reading process? 2. What changes does reading education bring to the reading interest and habit of learners? 3. What changes does reading education bring to the reading ability of learn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very student who were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 of two selected high schools. A survey and a reading ability test were conducted twice respectively to assess their reading ability. The first survey and reading ability test were implemented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then selected experimental classes received reading education. The second survey and reading ability test were implemented six months later to see if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classes, which received intensive reading education, and the others, which did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made a progress in reading comprehension when they were motivated. The type of reading materials that could spark their interest provided a stronger motivation to them, and the students who read interesting books understood them better than those who read uninteresting books did, even though their reading ability was at the same level. Besides, there were some personal elements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including analytic, logical, critical and synthetic think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ed that not only reading attitude and habit but reading comprehension couldn't be developed overnight. It shouldn't be overlooked that long-term reading experience is mandatory for the development of good reading comprehension as well as reading attitude and habit.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in diverse ways to find reading interesting and be evenly exposed to books on different fields. And good-quality reading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to them, and they also should be taught to read books after mapping out a specific reading plan. Schema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affect reading. In addition to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appreciation ability that extensively covered judgment, problem-solving skills, reasoning, creativity and imagination was also integral for the assessment of overall reading ability when the importance of schema is taken into account.

목차

초록
Ⅰ. 서 론
Ⅱ. 독서 과정에 대한 이론적 성과
Ⅲ. 설문조사 및 독서력 측정 결과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태(Kim Ki-Tae). (2005).독서력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독서 지도 유무에 따른 독서력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 49-77

MLA

김기태(Kim Ki-Tae). "독서력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독서 지도 유무에 따른 독서력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2005): 49-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