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감정노동과 소진: 자기돌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

영문명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r and their burn-out level: Focusing on the role of self-care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저자명
정은해 김혜미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교육』제69집,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관련하여 다수의 선행연구가 존재하나, 사회복지사가 감정노동자로서 소진을 경험하고 휴먼서비스 종사자인 자신에 대한 통찰이 중요시 요구되는 환경 속에서 자기돌봄과 관련한 연구들은 매우 미흡한 편이다. 이에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지와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 속에서 자기돌봄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에 A시 내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고 사회복지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191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 PROCESS MACRO를 활용해 붓스트래핑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첫째 감정노동 수준이 높을수록 소진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사회복지사일수록 자기돌봄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돌봄은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소진의 정도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는데, 이는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이 투입됨으로써 감정노동의 영향력이 더 감소함을 통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소진의 하위영역별로 감정노동과 자기돌봄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기돌봄은 감정노동-개인적 성취감 감소와의 관계를 완전히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고갈과 클라이언트 비인격화-소진 간의 관계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자기돌봄이 한 가지의 대안이 될 수 있음에 대한 함의와 한계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While burnout phenomenon among the social workers remains as well-explored topic of discussion for the past decade, the potential effect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frontline social workers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depth.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and their burn out level,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role of self-care as a potential mediator. To do so,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social workers working in A city, and data from 191 respondents were used for analys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nd the PROCESS macro for SPSS was used with the bootstrap procedure to test the mediation. The results show that first,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burnout, indicating that the more they were engaged in emotional labor, the higher level of their burnout level was. The emotional labor also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self-care, showing that the higher they scored on their emotional labor scale, the less self-care they were engaged with. Second, the mediation analyses revealed that self-car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of clients. On the other hand, self-car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indicating that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significantly affect their ability to care for themselves, and that this damaged self-care ability in turn increases their burnout level.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are provided, offering insights into needed changes and strategies to prevent social workers’ burnout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해,김혜미. (2025).사회복지사가 경험한 감정노동과 소진: 자기돌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 1-29

MLA

정은해,김혜미.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감정노동과 소진: 자기돌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2025): 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