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찰일지를 통해 살펴본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Recognition of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Reflection Journal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정욱 신혜원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4호, 55~6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1년부터 2024년까지 개설된 가정교육과 전공수업인 ‘가정생활과 문화’에서 학습자의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협동과제를 진행하고 성찰일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질적 분석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협동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으로 협동학습을 통해 배운 점, 협동학습의 성공⋅실패 요인, 그리고 협동학습이 향후 교직생활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습자들은 가정교과가 비판적이고 실천적인 문제를 다루는 교과이므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또한 협동과제 수행과정에서 의사소통능력과 모둠원 간의 신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협동학습의 성공요인으로는 팀워크, 팀원 간의 협력, 공유와 같은 상호의존성 및 협동적 기능 요인, 역할분담과 책임감과 같은 개별 책무성 요인, 그리고 토의와 의사소통 등 상호작용 요인을 꼽았다. 반면 모둠원 간의 갈등을 협동학습의 주된 실패 요인으로, 협동학습에서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 소통임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학습자는 협동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방법으로, 주제설정에서부터 학습방법 설계, 그리고 전달방식까지 예비교사로서의 향후 교직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공감하였다. 즉, 협동학습은 교직 생활에 필요한 구체적인 경험을 학습하는 시간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e major course “Culture of Family Life” within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offered from 2021 to 2024, students completed a cooperative assignment and were asked to write reflective journals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The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were then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and text mining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student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focusing on what they learned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he factors contributing to its success or failure, and its impact on their future teaching profession. Students recognized that Home Economics addresses critical and practical issues, making it essential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explore solutions from diverse perspectives. They also emphasized that communication skills and trust among team members are crucial for successfully completing collaborative tasks. The identified success factor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cluded interdependence and functional factors such as teamwork, cooperation, and sharing among team members, individual accountability factors such as role division and responsibility, and interaction factors like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s identified conflicts among team members as the main cause of failure in collaborative learning, highlighting communication as the most challenging aspect. Most students agreed that collaborative learning, as a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enhanced their future teaching careers by improving skills in topic selection, teaching method design, and presentation. In summary, students perceived collaborative learning as an opportunity to gain practical experiences valuable for their future roles in the teaching prof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욱,신혜원. (2024).성찰일지를 통해 살펴본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6 (4), 55-67

MLA

이정욱,신혜원. "성찰일지를 통해 살펴본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6.4(2024): 55-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