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 청소년의 자기건강평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Self-Health Evalu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Early Adolescents
발행기관
한국수중건강협회
저자명
성경주
간행물 정보
『한국인간과학연구』제1권 제1호, 69~8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체육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자기건강평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가 인식하고 있는 현재 주관적 건강평가, 건강인식정도, 신체증상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련성 확인하고, 삶의 만족도에 가장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8: 이하 KCYPS 2018)의 초4 코호트 제1~5차 조사(2018년~2022년) 데이터 중 3차년도(2020년)에 해당하는 ‘초 6학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청소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전반적 경향성을 확인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인식정도, 신체증상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실제적 건강상태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관련성 뿐만 아니라 영향력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청소년의 건강 상태와 삶의 만족도 간의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며, 건강 상태를 개선하는 프로그램과 사회적 지원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실천적 방안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mpact of early adolescents' self-assessment of health on their life satisfaction.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ived current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level of health awareness, physical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study seeks to identify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Methods: To achieve thi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specifically from the 3rd-year survey (2020) corresponding to the "6th grade" cohort in the 1st to 5th wave surveys (2018–2022).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overall trend of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olescence showed a gender difference, with male students generally having higher level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mpact of adolescents' subjective health status, level of health awareness, and physical symptoms on life satisfaction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of actual health status not only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but also the greatest influence on it. Conclusion: It demonstrate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rograms aimed at improving health and the necessity of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recommend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경주. (2024).초기 청소년의 자기건강평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과학연구, 1 (1), 69-80

MLA

성경주. "초기 청소년의 자기건강평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과학연구, 1.1(2024): 69-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