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중운동의 개념과 한국 수중운동의 연구동향

이용수 2

영문명
Concept of Aquatic Exercise and Research Trends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수중건강협회
저자명
김석범 김준홍
간행물 정보
『한국인간과학연구』제1권 제1호,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체육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에서는 수중에서 운동 및 치료로 사용하는 요법들에 대한 개념 정리와 과학적 근거의 바탕이 될 수 있는 논문 동향을 확인하고 수중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왓츠 요법(WATSU Method), 바디 라가지 요법(Bad Ragaz Ring Method), 할로윅 요법(Halliwick Method)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수중운동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한국 수중운동에 관한 국내 연구문헌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을 기준으로 2000년-2010년, 2010년-2020년, 2020년 이후로 구분하여 웹기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선정해서 분석했다. 연구결과: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중운동과 수중재활의 두 단어가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었으며, 이는 부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대부분의 연구대상자가 중년여성들이었으며, 이들의 주요증상은 노인성 질환, 요통, 관절염, 편마비, 낙상 등 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20년대부터 치매 및 인지기능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되었다. 결론: 다양한 계층에서 운동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중운동에 대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nceptual overview of therapies used for exercise and treatment in water, as well as examine trends in research that could serve as a scientific basis, in order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aquatic exercise. In this study, we provided conceptual explanations of the three most commonly used therapies: the Watsu Method, the Bad Ragaz Method, and the Halliwick Method. Additionally,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aquatic exercise in Korea, domestic research literature on aquatic exercise was analyzed. Methods: The analysis focused on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registered in web-based databases, categorized into three time periods: 2000-2010, 2010-2020, and post-2020.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changeable use of the terms “aquatic exercise” and “aquatic rehabilitation” is deemed inappropriate. Second, the primary research subjects were middle-aged women, with their main conditions being related to aging, back pain, arthritis, hemiplegia, and falls. Third, starting in the 2020s, research related to dementia and cognitive function has begun to emerge. Conclusion: It is practiced across various social classes for exercise or therapeutic purposes, and its demand is steadily increasing. Therefore,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upward trend of aquatic exercise,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목차

Ⅰ. 서론
Ⅱ. 수중운동의 개념
Ⅲ. 한국수중운동의 연구동향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석범,김준홍. (2024).수중운동의 개념과 한국 수중운동의 연구동향. 한국인간과학연구, 1 (1), 1-14

MLA

김석범,김준홍. "수중운동의 개념과 한국 수중운동의 연구동향." 한국인간과학연구, 1.1(2024):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