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중운동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고찰: 노인, 관절염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Consideration of the Components of Aquatic Exercise Programs Focusing on the Older Population with Arthritis
- 발행기관
- 한국수중건강협회
- 저자명
- 김철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인간과학연구』제1권 제1호, 15~2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의 인구수는 18.2%, 50년 후에는 47.7%로 전망되고, 기대수명은 82.7년, 건강수명은 65.8년이다. 노인 수의 비중이 증가하는 만큼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수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관절염의 치료는 비 약물치료 요법인 운동요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수중운동은 부력에 의하여 각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된다. 그로 인하여 통증이 저하된 상태로 운동이 가능하고, 상해 발생률이 낮아진다. 이러한 수중운동의 장점으로 인해 현장의 운동 지도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현장 지도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노인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수중운동 프로그램 구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선행연구는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 for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statement에서 제시한 PICO-SD(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tudy design) 형식을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수중운동 프로그램들은 준비운동, 본 운동과 마무리 운동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선정된 문헌들의 구성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9편의 학술논문이 선택되었다. 참여 인원은 장소에 따라 다르지만 20명 이하의 중·소규모로 진행되었다. 수중운동 프로그램의 운영 기간은 최소 8주에서 최대 24주였으며, 12주 동안에 운영되는 수중운동 프로그램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모든 연구의 참여자의 전체 평균 연령은 65.70세로 대부분 슬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결론: 연구자들은 포괄적이지 않고 구체적인 대상자별, 질환별 수중운동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수중운동 프로그램의 세부적인 구성과 효과 검증이 필요하며, 수중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에 있어서 근거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As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ncrease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gradually increases. It has been reported that exercise therapy, a non-drug treatment, i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arthritis. Aquatic exercise disperses the pressure applied to each joint due to buoyancy. As a result, exercise is possible with reduced pain, and the incidence of injury is reduced. Due to these advantages of aquatic exercise, it is receiving much attention from exercise instructors in the field. Therefore, to help instructors in the field, we will examine the composition of an aquatic exercise program for elderly patients with arthritis. Methods: The previous studies that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selected concerning the PICO-SD (participa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tudy design) format suggested in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atement. Aquatic exercise programs consisted of warm-up, main, and cool-down exercises. Water exercise programs are composed of a warm-up, main workout, and cool-down. Results: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selected literature are as follows. Nine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2011 to 2018 were selected. Although the number of participants varied by location, the programs were conducted on a small to medium scale, with fewer than 20 participants. The duration of the water exercise programs ranged from a minimum of 8 weeks to a maximum of 24 weeks,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programs being conducted over 12 weeks. The overall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across all studies was 65.70 years, with most of the research focusing o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Conclusion: Researchers should be interested in developing aquatic exercise programs specific to each subject and disease, rather than comprehensive. Detailed composition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aquatic exercise programs are necessary, and evidence should be supported in the composition of aquatic exercise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