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한 국내 지능형 과학실 관련 연구동향 분석과 생태학적인 접근
이용수 22
- 영문명
- Analyzing research trends and ecological approach to domestic intelligent science labs using scoping review methods
- 발행기관
- 지식생태학회
- 저자명
- 김지현 이재진
- 간행물 정보
- 『지식생태학회지』제1권 제2호, 17~3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 지능형 과학실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생태학적 접근에서 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등장한 지능형 과학실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하여 관련 연구물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고, 이들이 교육 생태계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는지 고려하기 위해 착안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2020년 이후 발표된 관련 학술 문헌과 정책 연구물을 바탕으로, 교육 생태계 내 다섯 가지 요소인 학습자, 교육환경, 교육자원, 교육과정, 교육 성과와 목표를 기준으로 키워드를 분류하고 지능형 과학실의 발전 방향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능형 과학실 관련 학술 문헌은 정책 연구물의 수에 비해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관련 문헌이 반영하고 있는 교육 생태계 요소들을 더 넓히기 위해 교사 역량, 기술적 접근성, 지역적 차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요인들 간 상호작용 및 물리적 환경과의 조화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intelligent science lab research in Korea by utilizing a scoping review method and approaching it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academic and policy literature on intelligent science labs published since 2020, the research analyze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limitations of intelligent science labs, and categorizes the keywords used in the literature based on five elements in the educational ecosystem: learners,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resources, curriculum, and educational outcomes and goals. Intelligent science labs a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AI and AR/VR to enhance scientific inquiry and experiential learning, helping students explore scientific principles and increase data literacy. The study points out that the literature on intelligent science labs is still scarce, and suggests that more research is needed, including on teacher competencies, access to technology, and regional difference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telligent science labs are complex systems that interact in an educational ecosystem, requiring interaction among various factors and harmonization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to operate effe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