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자녀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공동양육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4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interaction on the school readiness of their childre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parenting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이진화 조인경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23권 제1호, 15~3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parenting in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school readiness, an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parent-child interaction and co-parenting as based on the results. Korean Child Panel 7 (2014) used data from a child living with parents. Pearson's correlation and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1986)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child interaction, co-parenting, and readi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ignificance level of .01 in all and all sub-domains. Co-parenting mediated the betwee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school readiness. In detail, among the sub-scale of school readiness, learning attitude, cognition and common knowledge were partly mediated, and social emotion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were mediated completely. Based on the results, some ways were discusse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including role play, parent counseling, and the provision of a support system that includes couples counseling for parenting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