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 법회의 불교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용수 184
- 영문명
- A Theoretical Study on the Education of Buddhism in the Children's Buddhist Mass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저자명
- 김민자(선오)
- 간행물 정보
- 『불교와 사회』제16권 제1호, 118~142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19가 종식되면서 주말 법회가 재개되고 있다. 주말 어린이 법회는 출가자 감소, 저출산 시대, 젊은이의 무종교 현상을 파타하고, 포교와 전법을 확산시킬 수 있는 중요한 법회이다. 주말 어린이 법회는 미래의 불교 전법의 기초가 된다. 어린이 법회를 통한 불교 교육의 이론적 고찰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불교를 바탕으로 어린이 불교 교육의 목적을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교육 내용의 선정 및 교육 방법을 이론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어린이 불교 교육은 어린이의 발달 단계 및 종교성 발달 과정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교육 목적을 설정하고, 교육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는 교육 과정에 대한 논의에 바탕을 둔다. 어린이 발달 단계 및 종교성 발달의 이론에 근거하여 어린이법회의 불교 교육은 2단계로 설정한다. 첫 번째 단계는 6세에서 8세의 어린이이다. 이 단계의 불교 교육은 자기중심적 사고의 시기로, 구체적이고 명확한 과제를 제시한다. 법회 지도자와의 따뜻한 관계를 바탕으로 개별학습 및 실물 교육이 중요하다. 이 시기의 어린이는 종교적 사고가 가능하여 언어를 통해 부처님을 이해하고 순종적이며, 종교적 덕목을 습관화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8세에서 12세의 어린이이다. 이 단계의 어린이는 자기 주도적으로 역할을 수용하고, 타인의 입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친사회적 행동이 가능하여 협동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회규범과 종교적 덕목을 내면화할 수 있는 단계이다. 이 시기의 어린이는 제도적 종교의 가르침을 수용할 수 있으며, 언어와 문자를 통한 종교 교리를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With the end of COVID-19, weekend Buddhist Mass are resuming. The Children's Buddhist Mass is an important Buddhist Mass that can break down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monks, the era of low birth rate, and the non-religious phenomenon of young people. The Education of Buddhism in the Children's Buddhist Mass is the foundation of future Buddhism.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hildren's Buddhist education is needed.
First, children's Buddhist education discusses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and Vinaya. Second, the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of children's Buddhist education are discuss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development stage and religious development.
Based on the child's development stage and the theory of religious development, children's Buddhist education is divided into two stages. The first stage is for children aged 6 to 8. Buddhist education at this stage presents specific and clear tasks. Individual learning and real education are important based on warm relationships. Children at this stage are able to think religiously, so they can understand the Buddha through language, be obedient, and habituate religious virtues. This second stage is for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8 and 12. Children at this stage can perform cooperative learning by self-directed pro-social behavior that can accept roles and accept the position of others. It is also a stage where social norms and religious virtues can be internalized. Children in this period can accommodate the teachings of institutional religion and understand religious doctrines through language and letters.
목차
Ⅰ. 머리말
Ⅱ. 초기 불교의 어린이 불교 교육
Ⅲ. 어린이의 발달 단계와 불교 교육
Ⅳ. 어린이의 종교성 발달 단계와 불교 교육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