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부신앙의 기원과 전개:염라대왕, 야마(Yama), 시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yeongbu Belief: Focusing on King Yeomna, Yama, and Siwang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박희철(자운)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16권 제2호, 61~8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명부신앙(冥府信仰)은 불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전수재(生前豫修齋)의 기록을 보면 대체로 조선시대부터 나타난다. 생전예수재는 시왕신앙에 사상적 기반을 두고 있으며, 한국불교는 중국 불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불교가 중국에 전래되어 정착되는 과정에서 중국의 전통적인 토착 민속신앙이 불교에 흡수되어 때로는 인도불교와는 다른 의례가 행해지는 양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불교에서도 마찬가지로 빈번하게 드러나며, 따라서 한국불교 명부신앙의 기원을 중국 불교에서 찾는 경우가 드물지 않게 나타난다. 그러나 불교가 인도 전통의 사유와 문화에서 탄생했음을 고려하면, 한국불교 시왕신앙의 기원과 의미는 인도불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생전예수재의 핵심적인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는 명부(冥府) 신앙 속 염라대왕의 기원을 인도의 베다 신화에서 살펴보고, 이후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명부시왕 사상에 수용되고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인도의 신화 『리그베다』에 나타난 야마 신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수용한 초기 불교의 지옥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후 생전예수재의 소의 경전인 『불설예수시왕생칠경』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고, 경전에서 묘사하고 있는 염라대왕의 특징, 그리고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의 핵심 구성요소인 시왕의 성격과 역할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후세계인 명부와 염라대왕을 중심으로 하는 시왕신앙의 기원과 전개가 인도의 베다 신화 속 야마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Myeongbu belief (冥府信仰) is an important concept in Buddhism, and its closely related practice of Sangjeonyesujae (生前豫修齋) generally dates from the Joseon Dynasty. Sangjeonyesujae has its ideological roots in Shiwang beliefs, and Korean Buddhism is strongly influenced by Chinese Buddhism. As Buddhism was introduced and settled in China, traditional indigenous Chinese folk beliefs were absorbed into Buddhism, sometimes resulting in rituals that differed from those of Indian Buddhism. This phenomenon is equally frequent in Korean Buddhism, and it is therefore not uncommon to find the origins of Korean Buddhist Myeongbu beliefs in Chinese Buddhism. However, given that Buddhism was born out of the ideas and culture of the Indian tradition, the origins and meaning of Korean Buddhist Siwang beliefs should be found in Indian Buddhism.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s of ‘King Yeomna’(閻羅大王) in the Vedic mythology of India, which provides a key ideological foundation for the Myeongbu belief, and the subsequent adaptation and transformation of Yama's ideas in East Asia, including China. To do so, we first identify the character of the god Yama in Indian mythology and examine the early Buddhist concept of hell, which was adapted from the Vedic mythology. We then examin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Bulseolyesusiwangsaengchilgyeong��(佛說預修十王生七經), the sacred scripture of Saengjeonyesujae, and examined the characterization of ‘King Yeomna’ as described in the sutra, as well as the nature and role of Siwang, a key component of Saengjeonyesujae. In doing so, we have shown that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Siwang beliefs centered on the afterlife, Myeongbu, and ‘King Yeomna’ are based on the Vedic myth of Yama in India.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리그베다에 나타나는 야마신(염라대왕)의 성격
Ⅲ. 야마신의 불교적 수용
Ⅳ. 염라와 시왕경
Ⅴ. 염라대왕(閻羅王)과 시왕신앙사상(十王信仰) 형성(形成)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희철(자운). (2024).명부신앙의 기원과 전개:염라대왕, 야마(Yama), 시왕을 중심으로. 불교와 사회, 16 (2), 61-87

MLA

박희철(자운). "명부신앙의 기원과 전개:염라대왕, 야마(Yama), 시왕을 중심으로." 불교와 사회, 16.2(2024): 6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