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충주의 고중세 사찰의 역사와 의의
이용수 6
- 영문명
- The Foundation and History of the Ancient Middle Ages in Chungju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저자명
- 황인규
- 간행물 정보
- 『불교와 사회』제16권 제2호, 33~6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충주지방의 불교문화를 알기 위하여 불교 전래이후 사찰의 창건과 그 역사가 지니는 불교사적 역할 및 의의를 살피고자 한 연구이다. 고구려 불교가 남하하면서 반도의 중심지역인 충주를 상징하는 탑은 삼국의 민의 화합을 기원하여 세운 불교계의 중앙탑이다. 명필로 알려진 김생과 승려 탄연이 한 때 주석한 사찰이 김생사와 의림사이다. 뿐만 아니라 고려 불교계의 고승 왕사와 국사가 주석한 충주 사찰은 법경대사 홍법국사가 말년에 주석한 정토사, 광종이 어머니 유씨를 창건한 숭선사에 원명국사 징엄이 머물렀다. 의종대 충주 죽장사에 나타났다는 밤하늘 두 번째로 밝은 별인 시루우스 노인성의 출몰은 고려 왕실의 주목을 받기 충분하였다. 우리나라 민중 항쟁사에 빛나는 승장 김윤후와 우본이 주석한 미륵대원사의 주지였다. 대궐터로 알려지고 공민왕때 충주 천도론이 제기되었던 의림사도 왕실에서 주목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고려말 왕사 대지국사 찬영이 말년에 머물렀던 억정사, 보각국사 혼수가 머물렀던 청룡사 등에 주석하게 된 것도 우연이 아닐 것이다.
그 가운데 충주 불교에서 주목되는 사찰은 법경대사 현휘와 홍법대사가 충주를 택하여 주석하였다가 입적하여 추념 부도와 비가 세워진 정토사이다. 몽골침략에 노비를 이끌고 항쟁하였던 우본의 대원사 주지였다. 고려말 불교계를 태고 보우와 나옹 혜근 등 여말삼사가 주도하였는데, 그들의 문도인 환암 혼수와 목암 찬영이 마지막 왕사와 국사로 책봉되어 충주 청룡사와 개천사, 억정사에 머물다가 추념 부도와 비가 세워졌다. 조선초 세종대 충주의 중요 사찰인 청룡사, 개천사, 김생사, 용두사, 향림사 등의 사원전을 침탈당하고, 선교양종으로 통폐합하면서 혁파한 엄정사와 억정사의 승려를 비행을 빌미삼아 전국적인 불교탄압을 자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study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founding of temples and their history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order to understand the Buddhist culture of Chungju.
As Goguryeo Buddhism moved south, the tower, which symbolizes Chungju, the central area of the peninsula, is the central tower of the Buddhist community established to pray for the harmony of the people of the three countries. The temples once annotated by Kim Saeng and Buddhist monk Tanyeon, known as masterpieces, are Kim Saengsa and Uirimsa. In addition, Chungju Temple, chaired by a high priest and a national history of Goryeo Buddhism, stayed Jeongto Temple, which was annotated by Hongbeopguksa of Beopdaesa Temple in his later years, and Wonmyeongguksa Wonyongguksa Temple, which was founded by the King Gwangjong, his mother Yoo. The appearance of Noinseong, the second brightest star in the night sky that appeared in Chungju Jukjangsa Temple, was enough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Goryeo royal family. He was the governor of Mireukdaewonsa Temple, chaired by Kim Yun-hoo, and monk Ubon. Uirimsa Temple, which was also known as the site of the Grand Palace and raised the theory of Chungju during the King Gongmin's reign. Therefore, it is no coincidence that the late Goryeo Dynasty Wangsa's geodoguksa Chanyoung came to comment on Eokjeongsa Temple, where he stayed, and Cheongryongsa Temple.
Among them, the temple that attracts attention in Chungju Buddhism is Jeongtosa Temple, where the memorial stupa and the monument were built. He was the chief monk of Daewonsa Temple in Ubon, who led slaves to the invasion of Mongolia and protested. The Buddhist community at the end of Goryeo was led by the three female monks, including the monk Taego-Bowo and Naong Hye-geun, and their leaders, the monk Hwanam Honsu and Mokam Chan-young, were appointed as the last royal temple and national affairs, and stayed at Cheongryongsa and Eokjeongsa Temple in Chungju before the memorial Buddha and the monument were erect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temples of Cheongryongsa Temple, Kimsaengsa Temple, Yongdusa Temple, and Hyangrimsa Temple, which were the main temples of Chungju and they carried out a nationwide Buddhist repression using the misconduct of Eomsa Temple and Eokjeongsa Temple.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대의 주요 사찰
-용두사, 창룡사, 김생사, 정토사
Ⅲ. 고려 전기의 주요 사찰
-숭선사, 죽장사, 의림사, 대원사, 오갑사
Ⅳ. 고려 후기의 주요 사찰
-청룡사, 개천사, 억정사, 엄정사, 향림사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