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년기 원불교 신앙인의 사별 경험과 장례의식에 관한 연구:내러티브접근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Bereavement Experiences and Funeral Rites of Elderly Won-Buddhism Believer: Focusing on the Narrative Approach
발행기관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저자명
신은보
간행물 정보
『불교와 사회』제16권 제2호, 147~17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원불교를 신앙하는 노년기의 신앙인들을 대상으로 사별의 경험이 그들의 삶과 사생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노년기의 사별에 대한 경험은 배우자뿐만 아니라, 형제, 자녀들의 사별을 동시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다중적 사별의 경험은 개인에게 큰 고통을 주며, 남은 생에 대해 부정적으로 기능하게 된다. 특히 사별의 경험에서 장례의식은 개인의 고통을 경감하고, 일상으로의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년기 신앙인들이 겪는 사별의 경험과 장례의식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확인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대상자는 원불교를 신앙하는 노인 5명으로 약 8개월간 주1회씩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가까운 사람의 사별 경험이 인생에서 사생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건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다중사별 경험은 공동체의 도움과 지지가 매우 중요하게 기능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단편적이고 일회성의 도움보다는 지속적이고 자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기적인 도움이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별의 경험에서 같은 종교 공동체 구성원들의 위로는 빠른 회복을 돕는 반면, 가족이 동일한 신앙을 갖지 않는 경우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장례 의식은 비교적 긍정적인 기능을 하지만, 의식에 참여하는 가족 구성원의 참여 태도에 따라 자신의 죽음에도 유사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며, 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도 보였다. 이는 장례의식 자체보다 참여자들의 심적․물리적 반응이 더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experiences of bereavement affect the lives and perspectives on life and death of elderly practitioners of Won- Buddhism. In old age, experiences of bereavement often involve not only the loss of a spouse but also the simultaneous loss of siblings and children. Such multiple bereavement experiences can lead to significant pain and negatively impact one's outlook on the remaining life.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bereavement, funeral rites play a crucial role in alleviating individual suffering and facilitating recovery to everyday life.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bereavement experiences and funeral rites on the lives of elderly practitioner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five elderly individuals who practice Won-Buddhism,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eekly over approximately eight month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commonly perceived the experience of losing a close person as a significant event that influences their views on life and death.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 and assistance from the community are critically important in coping with multiple bereavements. Moreover, long-term support that is sustainable and spontaneous is more effective than fragmented and one-time assistance. While the comfort provided by members of the same religious community aids in quick recovery from bereavement, it was noted that support from family members who do not share the same faith can sometimes have a negative impact. Although funeral rites generally serve a positive function, the attitudes of family members participating in the ceremony can also have similar effects on their perception of death, potentially leading to negative associations. This highlights that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responses of participants during the rites are more significant than the rites themselv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배경
1. 노년기와 사별 경험
2. 장례의식과 생전장례식
Ⅲ. 연구방법
1. 내러티브접근(Narrative Approach)
2. 연구참여자 선정
3. 자료수집
4. 자료분석
5. 윤리적 고려
Ⅳ. 연구결과
1. 사별의 경험
2. 가족의 장례의식
3. 나의 생전장례식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은보. (2024).노년기 원불교 신앙인의 사별 경험과 장례의식에 관한 연구:내러티브접근법을 중심으로. 불교와 사회, 16 (2), 147-179

MLA

신은보. "노년기 원불교 신앙인의 사별 경험과 장례의식에 관한 연구:내러티브접근법을 중심으로." 불교와 사회, 16.2(2024): 147-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