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민체육진흥법상 명단공개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ist Disclosure System under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발행기관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저자명
Nam Kiyoen Yoo Somi
간행물 정보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7권 제2호, 77~9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체육계의 인권침해 및 비리 사건이 사회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입법적·정책적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2020년 「국민체육진흥법」의 개정으로 체육계 인권침해 및 스포츠비리 관련 명단공개제도가 새롭게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는 인권침해 및 비리행위자에 대한 명단을 공개함으로써 체육계에서 끊이지 않게 발생하는 인권침해와 스포츠 비리 관련 행위를 예방하여 인권 보호와 윤리의식 함양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명단공개제도의 시행에 따른 한계점과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특히 법규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명확하지 못한 점과 절차상의 미비점에 대한 입법적 개선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명단공개대상자를 선정하고 이를 공개함에 있어 개인정보와 인격권 침해의 최소화하기 위한 내용상 그리고 절차상의 보완이 필요하다. 명단공개자가 사망하는 등 명단공개의 실효성이 없거나 그 밖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명단공개를 배제하는 규정이 필요하다. 명단공개의 요건과 관련하여 ‘인권침해’ 및 ‘스포츠 비리’ 관련 범죄의 범위를 보다 구체화하여야 할 것이다. 국민체육진흥법 제12조의3에서 명단공개의 대상자로 ‘체육지도자 및 체육단체의 책임이 있는 자’를 규정하고 있는데, 그 의미와 해석 범위가 명확하지 않은 만큼 이를 보완해야 할 것이다. 명단공개제도가 일반적 인격권과 사생활의 비밀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질적인 명예형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명단공개 여부를 다시 심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재심의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공개대상자를 선정할 수 있도록 재심의 절차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과 개선 사항을 입법적으로 해결함으로써 명단공개제도의 정당성과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Human rights violations and corruption cases in sports are emerging as serious social problems. In this situation, many legislative and policy efforts are being made. With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in 2020, the List Disclosure system related to ‘human rights violations and sports corruption in the sports world’ has been introduced and is being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raise awarenes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sports corruption-related actions in sports world and to improve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ethical awareness by disclosing the names of human rights violators and corruptors. However, the list disclosure system reveals inherent limitations and problems in its implementation. This study secures the effectiveness of the list disclosure system and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for proper operation. Considering the social impact of disclosing names, a mechanism is needed to minimize infringement on the personal rights of those subject to disclosure. In cases where disclosure of the list is not effective, such as when the person disclosing the list dies, or if there are other special circumstances, an exception provision is necessary to exclude disclosure of the list. In relation to the requirements for list disclosure, the scope of crimes related to ‘human rights violations’ and ‘sports corruption’ must be specified. Because the meaning of ‘sports instructors and persons responsible for sports organizations’ who are subject to list disclosure is unclear, it must be clearly defined. Since the list disclosure system restricts general personality rights and freedom of privacy, the reconsideration procedure is necessary to decide whether to disclose the list. Through this procedure, the final subjects of disclosure must be selected. It is expected that the legitimacy and effectiveness of the list disclosure system can be secured by legislatively resolving these problems and improvements.

목차

Ⅰ. 서 론
Ⅱ. 명단공개제도의 내용 및 문제점
Ⅲ. 명단공개제도의 개선 방안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Nam Kiyoen,Yoo Somi. (2024).국민체육진흥법상 명단공개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7 (2), 77-92

MLA

Nam Kiyoen,Yoo Somi. "국민체육진흥법상 명단공개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7.2(2024): 77-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