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율적 인공지능에 의한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 여부 및 저작자 결정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연구

이용수 5

영문명
A study on the Theoretical Basis for Copyright protection of creative works by Autonomou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thorship
발행기관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저자명
김도경
간행물 정보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7권 제2호, 27~5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공지능 기술이 점차 정교해지고 진보함에 따라 새로운 인공지능 창작의 시대가 도래하고, 인공지능이 비록 인간의 복잡하고 뛰어난 지적 능력을 능가하지는 못할지라도 그 능력에 필적할 수는 있는 수준에까지 다다르게 되면서 인간의 개입 없는 자율적 인공지능이 만든 저작물의 저작권자는 누구인지에 대한 중요한 쟁점이 저작권법과 관련하여 제기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선택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자율적 인공지능이 창작한 신생 저작물(emergent work)에 대하여 저작권을 부여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인공지능 그 자체, 인공지능 사용자, 인공지능 프로그래머 또는 인공지능 회사를 저작권 귀속 주체로, 즉 저작권자로 저작권을 부여하도록 입법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그러한 저작물을 생성 즉시 공공의 영역에 귀속되도록 하여 저작권을 전혀 부여하지 않는 방안을 입법 정책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자율적 인공지능이 창작한 결과물에 대해서 저작권을 누가 보유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여 법적 혼란을 방지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며, 왜 현행 저작권법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지, 그리고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하여 저작권을 부여하고 저작권자를 결정할 수 있는 방안 중에서 가장 타당한 선택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입법적 해결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자율적 인공지능에 의한 창작물 생성 관련 저작권 쟁점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인공지능이 생성한 창작물의 저작권을 보유할 수 있는 주체에 대한 타당한 판단이 어려운 경우에는 저작권법 개정, 부정경쟁방지법 등 타법에 의한 보호, 또는 특별법(sui generis)에 의한 보호 검토 및 공공의 영역에의 귀속 등 입법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에 의하여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에 따른 저작자 결정 또는 저작권을 부여하지 않는(즉, 공공의 영역에 귀속) 방안을 검토하고 명확한 저작권 관련 근거에 의하여 가장 타당한 대안을 제안하고,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관련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사법부가 판단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인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향후 인공지능 창작물의 타당한 저작권 주체 등을 판단하기 위한 입법 자료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ecomes increasingly sophisticated and advanced, a new era of creatio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rrived, it has reached a level where it can match intellectual ability of humans, thereby improving human capabilities. An important issue was raised in relation to copyright law as to who owns the copyright of works created by autonomous artificial intelligence without human inter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ne option currently available is to grant copyright to emergent works created by autonomous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tself, user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mers, or artificial intelligence companies as copyright holders. Alternatively, a legislative policy could be chosen to not grant copyright at all by ensuring that such creations belong to the public domain as soon as they are created so that everyone can use them freely.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issue to prevent legal confusion by resolving the issue of who holds the copyright for the creations created by autonomous artificial intelligence. A legislative solution is needed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option among the options for granting and determining copyright holders. In line wit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clearly presents copyright issues related to the creation of creative works by autonomou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sider legislative measures such as the revision of the copyright law, protection by other laws such as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or the review of protection under the special law(sui generis) and attribution to the public domain. Accordingly,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legislative data to review ways not to grant copyrights according to copyright prot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ons (i.e., belong to the public domain) or to grant authorship, propose the most valid alternative based on clear copyright-related grounds, and use it as a theoretical basis for judicial judgment in the event of a copyright-related dispute over cre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인공지능 창작물(emergent work)의 저작권 귀속 문제
Ⅲ.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자 유형
Ⅳ. 인공지능 창작물의 공공의 영역에의 귀속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경. (2024).자율적 인공지능에 의한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 여부 및 저작자 결정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연구.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7 (2), 27-54

MLA

김도경. "자율적 인공지능에 의한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 여부 및 저작자 결정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연구."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7.2(2024): 2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