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Changes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Based on OECD Education 2030 Project
이용수 27
- 영문명
- OECD Education 2030 Project에 기초한 2022 개정 음악과교육과정 내용의 변화 탐색 연구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미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9권 제2호, 103~12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래음악교육이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관 영역에서 지식과 윤리적인 측면이 더욱 확장될 것으로 보고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 내용 영역에 기초하여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COVID-19 이후에 개정된 2022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내용 영역을 기준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의 문헌분석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2022년 개정음악과 교육과정 문헌을 분석하여 탐색하여 변화된 쟁점을 도출하고 지식과 기능, 태도 및 가치관의 윤리적 영역의 요소를 변혁적 역량과 연결하여 미래음악교육에 필요한 역량을 제안하고자 함에 있다. 이에 지식과 기능, 태도 및 가치관의 윤리적 영역에서 음악과 교육과정 변화를 토대로 미래 음악 학습의 내용과 범위를 문헌으로 탐색하
였다.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문헌 분석한 결과에 따라 사회적 변화에 민감하게 적응할 수 있는 기초 역량으로 내면적인 가치와 태도 함양뿐만 아니라 고차원적인 사고력이나 문제 해결력을 포함하는 전이적이고 변혁적인 역량 함양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future of music education that will further expand knowledge and ethical aspects in the areas of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and explored changes in music curriculum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areas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tThe 2022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after COVID-19, a literature analysis of the music curriculum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ntent areas presented by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and explore The 2022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literature to derive changed issues and propose foundational competencies essential for future music education by connecting elements of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Accordingly, the content and scope of future music learning is explored in the literature based on changes in music and curriculum in the area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ransformative competencies, including solving skills. In addition, the need to change the contents of updating the music curriculum content and enhancing transformative competencies according to future societal changes was present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Knowledge and Ethic Areas
Ⅴ. Discus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아동센터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성과분석 연구 - CJ나눔재단 문화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 지속가능발전 개념과 목표의 박물관·박물관교육에의 함의
- 문학상담 집단 프로그램에서의 시 쓰기 체험에 대한 가치 탐색 연구
- 다문화 아동 심리·정서 지원을 수행한 융합예술치료사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Van Manen의 체험연구적 접근을 중심으로 -
- An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Changes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Based on OECD Education 2030 Project
- 김지하 문예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연행성 미학의 탐구 - 세대간 소통과 전유의 측면에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AI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의 교수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