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아동 심리·정서 지원을 수행한 융합예술치료사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Van Manen의 체험연구적 접근을 중심으로 -
이용수 132
- 영문명
- A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Convergence Arts Therapy for Supporting the Psychological Emotions of Multicultural Children - Focusing on Van Manen's experiential research approach -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에스더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9권 제2호, 41~6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아동의 심리정서 지원을 수행한 융합예술치료사의 체험과 그 현상 의 본질 및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기반으로 생활세계의 4가 지 실존체인 신체성,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에 입각한 체험 연구적 접근 방법을 수행하였다. 다 문화 아동의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한 융합예술치료사 2인을 대상으로 2024년 1월 8일 부터 2024년 1월 31일까지 1회당 90분, 총 5회로 심층인터뷰를 대면으로 실시하였다. 심층인터뷰 자료 분석결과, 체험의 본질적 주제 4개와 11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자는‘융합예술 치료 체험 디자인 휠(Convergence Arts Therapy Authentic Experience Design Wheel)을 설계하 였다. 융합예술치료사가 다문화 아동의 심리정서를 위한 치료수행을 통해 체험된 현상의 본질 과 의미를 질적 방법으로 해석함으로써 융합예술치료의 학술적 지평을 여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융합예술치료사로 활동하는 임상 현장 치료사들의 치료수행에 실질적인 체험적 자료 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convergent arts therapists who supported the psychologicalemotion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phenomenon. Based on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an experiential research approach based on physicality, temporality, spatiality, and relationship, the four beings in the living world, was conducted.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5 times from January 8, 2024 to January 31, 2024, and were conducted 90 minutes per time face-to-fa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4 essential themes of experience and 11 sub-themes were derived. Based on this, the Convergence Arts Therapy Authentic Experience Design Wheel was designed. It is meaningful for convergent arts therapists to open the academic horizon of convergent arts therapy by interpreting the nature and meaning of phenomena experienced through treatment performance for psychologicalemotions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a qualitative way.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practical experiential data for the treatment performance of clinical field therapists working as convergent arts therapis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융합예술치료의 적용과 사례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아동센터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성과분석 연구 - CJ나눔재단 문화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 지속가능발전 개념과 목표의 박물관·박물관교육에의 함의
- 문학상담 집단 프로그램에서의 시 쓰기 체험에 대한 가치 탐색 연구
- 다문화 아동 심리·정서 지원을 수행한 융합예술치료사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Van Manen의 체험연구적 접근을 중심으로 -
- An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Changes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Based on OECD Education 2030 Project
- 김지하 문예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연행성 미학의 탐구 - 세대간 소통과 전유의 측면에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시기별 과목군별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 환경도서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후정의 교육 내용 요소 구성
- 빅 아이디어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설계 방식 고찰: 해외 교육과정 분석을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