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아동센터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성과분석 연구 - CJ나눔재단 문화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이용수 8

영문명
Performance Analysi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on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at Community Child Center : Focusing on CJ Arts Education Program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안승재 이봉주 김아영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9권 제2호, 1~4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살펴보기 위한 실증연구이다. 문 화예술은 모든 국민의 권리이며 아동·청소년의 개인적 역량 증가 및 사회문제의 예방을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하여 아동·청소년의 문화향유권이 제한되었고 특히, 저소 득·소규모 지역에 있을수록 피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코로나19 기간 문화예술교육의 제한이 컸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지속하였으며, 관 련 성과 데이터를 전국 규모로 관리하는 CJ나눔재단의 <사회적 성과(Social Impact) 연구 사업>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청소년 398명이며, 문화예술교육 의 형태를 향유형, 학습형, 활동형으로 구분하고, 참여 수준을 평균 이하, 평균, 평균 이상 집단 으로 구분하여 ANOVA 분석을 통해 성과를 살펴보았다. 성과는 문화예술 친숙성, 창의성, 자아 인식, 사회성, 문제행동, 성취감, 진로성숙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활동형이 향유형, 학습형 보다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더 많은 성과 지표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이는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향유권 보장이 아동·청소년의 인 적자원을 극대화하고 학습 능력을 제고하여 건강한 성장을 위한 기재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문화예술교육 지원에 있어 능동적·주체적인 기회를 증진하기 위한 사회적 노 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erformanc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hild care centers, emphasizing their importance as a fundamental right and a means of personal and social develop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stricted, affecting children disproportionately in low-income and smaller communities, particularly those in community child centers. The research categorizes the activities into enjoyment, learning, and participation types and utilizes ANOVA to evaluate the effects based on engagement mode and participation level. The findings reveal that participation-focused activities lead to higher performance benefits, showing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participation and the enhance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The results underscore the vital rol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in fostering learning abilities, promoting healthy development,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young individual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ongoing social support for cultural arts education, demonstrating its critical role in maximizing the potential and well-be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specially during challenging time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승재,이봉주,김아영. (2024).지역아동센터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성과분석 연구 - CJ나눔재단 문화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문화예술교육연구, 19 (2), 1-40

MLA

안승재,이봉주,김아영. "지역아동센터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성과분석 연구 - CJ나눔재단 문화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문화예술교육연구, 19.2(2024): 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