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학상담 집단 프로그램에서의 시 쓰기 체험에 대한 가치 탐색 연구

이용수 6

영문명
Exploring the Value of the Poetry Writing Experience in Literary Counseling Group Program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이옥연 진은영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9권 제2호, 63~101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학교육자이자 독서치료사인 연구자가 문학상담 집단 프로그램에서의 시 쓰기와 나눔을 통해 무엇을 경험했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문학상담에서의 시 쓰기 활동이 갖는 의미와 가치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문학상담은 읽기와 쓰기, 나눔이라는 문학적 상 호작용을 통해 자신과 세계를 탐색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과정이다. 이때 다양한 문학적 표현 중에서도 ‘시 쓰기’는 언어의 타자성을 경험함으로써 자신과 세계를 다른 방식으로 볼 수 있 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그러나‘시’는 쉽게 접근하기 힘든 장르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 다. 이 연구는 시 쓰기의 부담을 가졌던 연구자가 문학상담에서의 시쓰기와 나눔을 통해 어떤 변화를 겪게 되었는지를 드러냄으로써 ‘시 쓰기’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문학상담 집단 프로그램에서의 시 쓰기 체험을 의미화하는 작업을 통해 문학상담에 관심을 가진 상담자들과 문학을 통한 자기표현과 소통의 과정에 관심을 지닌 많은 이에게 문학 상담의 의의와 가치를 이해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고는 문학상담 집단 프로그램에서의 ‘시 쓰기’경험에 대하여 1인칭 연구인 자문화기술지의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1) ‘시’로 하는 불편한 말, ‘시’로 듣는 난감한 말, (2) 문학상담 집단 프로그램에서의 시 쓰기: 또 다른 나를 찾아가기, (3) 문학상담 집단 프로그램에서의 나눔: 시는 사랑이다” 라 는 세 개의 큰 주제가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value of poetry writing in literary counseling by describing the researcher's experiences as a literacy educator and bibliotherapist through the writing and sharing of poetry in a literary counseling group program. Literary counseling is a process of exploring oneself and the world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literary interactions of reading, writing, and sharing. Among various literary expressions, 'poetry writing' i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otherness of language and to see oneself and the world in a different way. However, poetry tends to be perceived as an inaccessible genre. This study can help to create a new understanding of 'poetry writing' by revealing how a researcher who struggled to write poetry was changed by writing and sharing poetry in a literary counseling group. In addition, by meaningfulizing of the experience of writing poetry in a literary counseling group program, it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value of literary counseling for those interested in literary counseling and for those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literature. This paper is an autoethnography that explores my experience of “double poetry writing” in a literary counseling group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major themes emerged: (1) uncomfortable words spoken in 'poetry' and uncomfortable words heard in 'poetry', (2) writing poetry in a literary counseling group program: finding another me, and (3) sharing in a literary counseling group program: poetry is lov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옥연,진은영. (2024).문학상담 집단 프로그램에서의 시 쓰기 체험에 대한 가치 탐색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9 (2), 63-101

MLA

이옥연,진은영. "문학상담 집단 프로그램에서의 시 쓰기 체험에 대한 가치 탐색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9.2(2024): 63-1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