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 만족이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제공자를 중심으로

이용수 12

영문명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Workers Working in Hospitals on t he Q uality of Service: F ocusing on S ervice P roviders
발행기관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저자명
배병주
간행물 정보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6권 제1호, 71~8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 만족이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3년 07월 01일~2023년 08월 31일까지 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78명을 대상으로 자가 기입 방식으로 온 ⋅ 오프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만족을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 직무 만족과 서비스의 질에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직무 만족이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직무 만족은 평균 3.54로 나타났고, 직무 만족 중 동료에 관한 만족이 가장 높았다. 서비스 질은 평균 4.24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직무 만족과 서비스의 질의 상관관계에서는 임금과 이직을 제외한 모든 하위변인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직무 만족과 서비스의 질을 단순회귀분석 한 결과 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여 직무 만족이 높아지면 서비스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35.6%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들의 직무 만족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근무 시간을 제한하는 제도적인 변화와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직무 배치, 팀 구성에 있어 요양보호사들의 관계를 고려한 직무 배치를 위한 기관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보호사들의 직무 만족과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향후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workers working in hospitals on service quality. Methods : From July 1, 2023, to August 31, 2023, 78 nursing care workers working in hospitals were surveyed online and offline in a self-filling manner.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find out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Results :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workers was 3.54, and among job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was the highest. Service quality was high at an average of 4.24. I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there was a correlation in all sub-variables except wages and turnov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service improved as the job satisfaction increased by confirming a positive (+) effect, and it showed 35.6%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make some suggestions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workers. Institutional changes that limit working hours, job placement in considerat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job plac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care workers in team composition are requir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of nursing care work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병주. (2024).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 만족이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제공자를 중심으로.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16 (1), 71-80

MLA

배병주. "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 만족이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제공자를 중심으로."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16.1(2024): 7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