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원격 의료에 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17

영문명
The Impact of Telehealth on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발행기관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저자명
박수희
간행물 정보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6권 제1호, 29~36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원격의료 중재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통해 건강 관리와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문헌을 대상으로 PsycINFO, CINAHL, MEDLINE, PubMed, Science Direct, PEDro, Cochrane Library를 이용하여 원격의료와 노인 관련 논문을 검색하였다.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179개의 논문 중 10개의 무작위대조군 연구(RCT)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분석한 10개의 연구 모두에서 원격의료 중재가 노인의 건강 관리와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만성 질환 관리, 병원 재입원율 감소, 자가 관리 능력 향상, 낙상 예방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원격의료가 노인의 건강 관리와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정책 입안자와 의료 제공자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와 실무 적용에 있어 중요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analyze the effects of telehealth interventions on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dividuals. This research aims to assess the efficacy of telehealth in managing chronic diseases, maintaining functional independence, and enhancing the overall well-being of the elderly. Methods : This study employs a systematic review methodology, examining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23. The databases used for the literature search include PsycINFO, CINAHL, MEDLINE, PubMed, Science Direct, PEDro, and Cochrane Library. The inclusion criteria were focused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that involved elderly participants and utilized telehealth interventions. From an initial selection of 179 articles, 10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subjected to a thorough analysis. The PICO framework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was utilized to assess the relevance and quality of the selected studies. Results : The analysis of the 10 selected studies revealed that telehealth interventions consistentl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health 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se interventions demonstrated significant benefit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chronic disease management, reduction in hospital readmission rates, improvement in self-management abilities, and fall prevention. Conclusion : The systematic review concludes that telehealth is a valuable tool for improving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elehealth interventions offer significant benefits, including better management of chronic conditions, enhanced functional independence, and overall improved well-being.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telehealth into elderly care,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post-COVID-19 era and the advancemen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희. (2024).노인의 원격 의료에 관한 체계적 고찰.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16 (1), 29-36

MLA

박수희. "노인의 원격 의료에 관한 체계적 고찰."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16.1(2024): 29-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